•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산 동문동사지 고려 석조보살상 연구 (Study on the Goryeo stone bodhisattva statue at the Dongmun-dongsa Temple Site in Seosa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12
24P 미리보기
서산 동문동사지 고려 석조보살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62호 / 281 ~ 30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원

    초록

    이 글은 2018년 충남 서산에서 불두와 하반신 없이 불신만 발견된 석상에 대한 존명과 도상, 그리고 제작 시기를 고찰하였다.
    석상 발견 후 서산시 측에서 인근 동문동 사지로 옮겨서 일반인이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안내판에는 조성 시기와 형태 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없다. 이에 필자는 이 석상의 존명과 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발견지 인근과 서산시 일대의 불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팔의 형태와 영락 등은 서산과 인근 지역 불보살상 중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비롯해 여러 점의 ‘미륵상’과 친연성이 보였다. 그러나 관음상이나 여래상임에도 미륵불 또는 미륵보살로 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고려 말기 서해안 지역의 왜구 침탈과 그로 인한 혼란스러웠던 사회적 문제에 기인한다. 따라서 기존의 미륵불 또는 미륵보살로 통칭하는 상과의 친연성 때문에 이 동문동 석상을 미륵 존상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동문동사지 석상의 왼손 손목에는 팔찌로 추정되는 선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불상이 아니라 보살상이라 추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예산 상가리 미륵, 아산 영인석불, 서산 용현리 미륵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이들은 현재 미륵이나 ‘석불’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관음상일 가능성이 높은 상들이다. 이 3기의 석상은 모두 오른팔을 U자 형태로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마주하고 있으며, 왼팔은 90°로 꺾어 배에 붙였으며, 뒤집어서 정면을 향하도록 한 손바닥이 움푹 파여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다만, 이중 아산 영인석불은 움푹 파인 손바닥에 보주처럼 보이는 持物이 올려져 있다. 또 석불 보관이 化佛로 본다면 관음상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위 3기의 석불들과 비교하면 미륵 또는 관음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서산에는 고려시대에 성행하였던 ‘화엄 10찰’ 중 하나인 보원사지가 있고, 또한 부석사의 금동관음보살좌상을 본다면 서산과 일대 지역에서도 관음신앙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위 근거에 무게를 두고 동문동사지 석상은 관음상일 가능성이 높고, 또한 이 관음상 후면에 광배를 부착하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name, iconography, and production period of the stone statue discovered in Seo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2018 without the Buddha head or lower body.
    After the stone statue was discovered, Seosan City moved it to the nearby Dongmun-dong Temple site so that the public could view it, but there is no detailed explanation on the date of creation or the form on the information board. Therefore, the author investigated Buddhist statues in the vicinity of the discovery site and Seosan City in order to study the name and iconography of this stone stat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hape of the two arms and the bracelets show affinity with several ‘Maitreya statues’ among the Buddhist statues of Seosan and nearby areas, including the Stone Maitreya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called Maitreya Buddha or Maitreya Bodhisattva even though it is a statue of Avalokitesvara or a statue of Tathagata, which is due to the Japanese pirate invasion of the west coast reg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it. Therefore, I think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this Dongmun-dong stone statue is a statue of Maitreya because of its affinity with the existing statues commonly called Maitreya Buddha or Maitreya Bodhisattva.
    There seems to be a line on the left wrist of the Dongmun-dong Temple Bodhisattva statue that is presumed to be a bracelet. Based on this, I think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a statue of a Bodhisattva, not a Buddha statue. To do this, I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Mireuk of Yesan Sanggari, the Asan Yeongin Stone Buddha, and the Mireuk of Seosan Yonghyeon-ri. These statues are currently called Mireuk or ‘stone Buddha’, but in reality, they are likely statues of Avalokitesvara. All three of these stone statues have their right arm raised in a U shape, performing the Amitabha middle-class living being, their left arm bent 90 degrees and attached to their stomach, and their palms facing forward are sunken in, showing the common feature. However, the Asan Yeongin Stone Buddha has an object that looks like a jewel on its sunken palm. Also, if the stone Buddha’s body is considered to be a fire Buddha,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created as a statue of Avalokitesvara. Compared to the three stone Buddhas above, I think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created as Maitreya or Avalokitesvara.
    In Seosan, there is the Bowonsa Temple site, one of the ‘10 Hwaeom temples’ that were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f you look at the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eated statue at Buseoksa Temple, it can be seen that the Avalokitesvara faith was popular in Seosan and the surrounding area. Based on the above evidence, I think that the Bodhisattva statue at Dongmun-dongsa Temple site is likely to be a statue of Maitreya or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hat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a halo was attached to the back of this Avalokitesvara statue.the back of this Guanyin stat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