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年代 前半 日本勞動組合全國協議會와 韓人勞動者 -나고야(名古屋) 地域의 運動을 中心으로- (The National Council of Japanese Labor Unions and Korean Laborers in the 1930s -focusing on the movements in Nagoy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6
38P 미리보기
1930年代 前半 日本勞動組合全國協議會와 韓人勞動者 -나고야(名古屋) 地域의 運動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민족문제학회
    · 수록지 정보 : 韓日民族問題硏究 / 22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김광열

    초록

    戦前の日本で少くない在日朝鮮人たちが抵抗的な社会運動に献身した。これは厳然たる事実であるし、彼らの歴史をなす一側面である。したがって、それらの事実をありのまま記録し、積極的にその意義を分析する必要がある。本稿は、1930年代前半の日本でもっとも急進的な労働組合であった日本労働組合全国協議会(以下、「全協」と略す)と在日朝鮮人労働者の関係を究明する一環で、名古屋地方の運動を中心に考察するものである。1929年2月、名古屋に住む朝鮮人有志たちの尽力でによって民族運動団体の新幹会名古屋支会が設立された。そして同年10月、新幹会名古屋支会のリーダーによって当該地域で最初の朝鮮人労働運動団体である名古屋朝鮮労組が創立された。しかし、既に当時は日本での朝鮮人労働運動を代表する存在である在日本朝鮮労働総同盟(以下、「在日労総」と略す)のリーダーたちが傘下の団体を日本人労組「全協」へ合流させ、その中で産業別の組合に再編し、運動を持続させるべきという方針転換を唱えていた。名古屋朝鮮労組はそういう転換の時流に沿って「在日労総」の運動方針にしたがう勢力が主導権を握り、愛知朝鮮労組と改名してから、1929年12月14日に「全協」への合流を決定すべく大阪で開かれた「在日労総」の全国代表者大会に愛知県の代表として参加した。1930年から愛知朝鮮労組の組合員は名古屋地域の「全協」系団体に加盟して、名古屋と中部地方に住む朝鮮人労働者のために失業反対運動、未払い賃金の払い戻し、各種の記念日運動(国恥日を含む)などで一定の役割をした。しかし1930年代前半、日本警察は各地の「全協」をはじめ左派運動団体に対して「治安維持法違反」の疑いがあるという名目で弾圧を続けた。名古屋の「全協」系団体の朝鮮人活動家たちは日本人と協力し、あるいは自力で弾圧で崩れかかった組織を再建しようと奔走した。そのような弾圧と再建を繰り返す状況の中で「全協」は失業問題、労働現場や借家問題など朝鮮人労働者の日常的な生活問題を対処する余力がなくなってしまった。特高警察が「全協」を弾圧する目的はその朝·日活動家たちを治安維持法にかけて組織的な活動ができないようにして、傘下組合に集まっていた日本人及び朝鮮人労働者たちを解散させることであった。1934年2月、愛知県全体で敢行された警察の弾圧によって名古屋地域で「全協」系の組織は完全に崩れた。しかし、1930年から約4年の間名古屋および中部地方で行われた「全協」系の運動の中で朝鮮人活動家たちの活躍は重要な位置を占めていたことが確認できる。彼らは「全協」を維持することによって差別的な現実に抵抗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

    영어초록

    The Nagoya branch of Singanhoe(新幹會), which was established by Korean activists living in Nagoya in February, 1929,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building the first Korean labor union in this area in October, 1929, called Nagoya Korean Labor Union. However, the representative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Labor Union in Japan, Jaeilnochong(在日勞總), were already discussing the way of dissolution of Jaeilnochong and the affiliated organizations to reorganize themselves as the members of the National Council of Japanese Labor Unions (Chonhyup, 全協). In this drastic changes, the leaders of Nagoya Korean Labor Union took the initiative according to the Jaeilnochong’s new policy. On December 1, Nagoya Korean Labor Union transformed into Aichi Korean Labor Union and the union sent their delegation to the national meeting of Jaeilnochong held in Osaka on December 14. In the meeting, the attendees finally decided on the policy to join Chonhyup organizations.
    Since 1930, the members of Aichi Korean Labor Union who now joined the affiliated organizations of Chonhyup took an active role in various movements, fighting against unemployment and unpaid wages and in ‘holiday struggles’ – May Day, National Humiliation Day(August 29th, when the annexation treaty was formed) and other commemoration days. In the early 1930s, Japanese police kept oppressing nationwide the leftist organizations, including Chonhyup, on the grounds that they violated a peace preservation law(治安維持法). In the meantime, Korean activists who belonged to Chonyup in Nagoya tried to rebuild the damaged organizations by themselves or along with Japanese, always standing on the frontline. But under the constant oppression and rebuilding, Chonhyup organizations could not afford to respond to unimployment, labor conditions, lack of dwelling places and the discriminations which Koreans were facing in ordinary lives.
    The purpose of Japanese special police, forces was to interrupt organized movements by arresting Korean and Japanese Chonhyup activists with a peace preservation law and eventually to disperse all the laborers who gathered in each labor union. Though, in Nagoya, Chonhyup organizations were eliminated due to the big oppression which hit hard in Aichi in February, 1934, we can verify many activities by Koreans in Chonhyup organizations of Aichi area by then. They protested the discriminative reality and tried to maintain the Chonhyup organizations, pursuing the refor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日民族問題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