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길동전> 소재 웹툰 <은탄>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콘텐츠화와 독자 반응의 문제 (Seen through the webtoon based on Problems of content transform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and reader respons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lt;홍길동전&gt; 소재 웹툰 &lt;은탄&gt;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콘텐츠화와 독자 반응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58호 / 259 ~ 296페이지
    · 저자명 : 서정현

    초록

    본고에서는 작가 김규삼의 네이버 웹툰 <은탄>에 나타난 <홍길동전>을 비롯한 고전문학 소재의 콘텐츠화 양상과, 그에 대한 독자의 반응이 보여주는 특징 및 의미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은탄>은 2019년을 전후하여 한국 인터넷 웹상에서 등장하였던 ‘흑인 홍길동’ 혹은 ‘흑길동’이라는 인터넷 밈을 출발점으로 하면서도, <홍길동전>, <단군신화>, <어사 박문수 설화> 등의 다양한 고전서사문학을 소재로 활용한 작품이다. 원전을 변개시키는 과정에서 패러디의 수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웃음을 주는 한편으로 오늘날의 현실세태를 날카롭게 풍자하고 비판하기도 한다.
    나아가 <은탄>에서는 웹툰의 댓글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공간 속 대중의 적극적인 참여가 확인된다. 원전에 관한 정보·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달성되지 못할 수 있는 패러디의 효과를 독자 간 정보의 공유를 통해 온전히 이루거나, 작가의 의도 및 발상과는 다른 독자들만의 창의성이 발휘되곤 한다. 그런가 하면 작품과 접목된 현실세태에 대한 독자들의 토론과 논쟁이 격화되는 모습도 보인다. 후자의 경우 독자들 간의 대립이 비화되면서 공동체적인 독서와 창작의 순기능과 같은 면면들이 사라지는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고전의 콘텐츠화가 광범위한 인터넷 공간 속 독자‧대중의 참여 하에 활기를 띤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웹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존 매체의 한계를 넘는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다. <은탄>이 보여주는 고전서사문학의 콘텐츠화 또한 인터넷 대중‧독자의 적극적인 발상 및 태도를 통해 새로운 ‘읽기’의 양상을 보여준다. 단 그것이 과연 어느 정도의 진지한 깊이와 치밀함을 지닌 것인지, 그리고 <은탄>을 포함한 웹 미디어 콘텐츠 속 고전문학과 현실세태 사이의 접목이 과연 긍정적인 방향성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한 고찰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summarize the content-making aspects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cluding <Honggildongjeon(洪吉童傳)>, as shown in author Gyu-sam Kim's Naver webtoon <Euntan(銀彈; Silver Bulle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shown by readers' responses to it.
    <Euntan> takes as its starting point the Internet meme called ‘Black Hong Gil-dong(黑人 洪吉童)’ that appeared on the Korean Internet around 2019, while also incorporating various Korean classics such as <Honggildongjeon(洪吉童傳)>, <Dangun Myth(檀君神話)>, and <The Tale of Eosa Park Mun-su(御史 朴文秀 說話)>.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uclear power plant, parody techniques are actively used to make readers laugh, while also sharply satirizing and criticizing today's reality.
    Furthermore, in <Eunta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e Internet space is confirmed through the webtoon's comment system. The effect of parody, which may not be achiev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the original text, is fully achieved through knowledge sharing among readers, or readers' own creativity that differ from the author's intentions and ideas occur. At the same time, readers' discussions and debates about the real-life situation linked to the work appear to be intensifying. In the latter case, as the conflict between readers escalates, the positive aspects of community reading and creation disappear,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 conversion of Korean classics into content becomes more vibrant with the participation of readers and the public in the wide Internet space.
    With the advent of the web media era, readers' active participation that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dia is becoming more prominent. <Euntan>'s content transformation of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also shows a new aspect of 'reading' through the active ideas and attitudes of the Internet public and readers. However,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to determine how much serious depth and detail it has, and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real-life situations in web media content, including <Euntan>, has a positive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