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華陽洞과 尤庵事蹟 (Traces of Uam (尤庵) in Hwayang Valle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7.12
74P 미리보기
華陽洞과 尤庵事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18호 / 89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완우

    초록

    조선중기의 유학자 尤庵 宋時烈(1607-89)은 효종연간의 北伐論을 이끌었던 인물 이다. 본고는 충북 괴산군 청천면 華陽洞 계곡에 남아있는 우암 관련 事蹟을 통해 17세기 지성의 일면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에 우암의 은거와 관련하여 그가 열렬히 추종했던 南宋 朱熹의 은거와 武夷九曲, 조선 문사의 구곡 경영을 알아보고, 이어 우암의 華陽洞 은거와 精舍의 明皇御筆의 모각과 珍藏, 華陽書院의 개창과 ,萬東廟의 설립, 華陽九曲의 命名과 전파 등 우암의 은거 사상 및 그 전파양상을 살펴보았다.
    朱熹(1130-1200)는 북쪽 여진족 金의 침공에 따라 남쪽 臨安으로 옮겨간 남송 정부가 金에 대해 나약한 태도로 일관하자, 출사를 거부하고 福建省 武夷山에 은거하여 精舍를 짓고 講學에 열중했으며, 또 주위의 勝景을 九曲으로 명명하며 자연과 더불어 인간의 심회를 풀어냈다. 이러한 주회의 행적은 조선시대 문사들에게 은거와 강학의 모범적 선례가 되어 여러 추종양상을 낳았다. 특히 17세기 明淸交替期를 겪었던 우암은 淸에 대한 復?雪恥의 기치 아래 효종과 벌였던 北伐 수포로 돌아가자, 화양동에 들어가 巖樓濟라는 정사를 짓고 북벌의 의지를 전환시켜 주위 산천을 여러 상징물로 시각화함으로써 화양동을 性理學的 은거와 大明義理의 관념을 융화시킨 장소로 만들어갔다. 특히 閔鼎重이 구해온 〈非禮不動〉이란 毅宗御筆을 얻게 되자 이를 화양동의 瞻星臺 암벽에 모각하고 明 神宗과 毅宗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하는 등 尊周大義의 이상을 실천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우암이 사망한 뒤 權尙夏(1641-1721)를 비롯한 그의 제자들은 우암의 은거사상과 대명의리를 진전시켜 갔는데, 임진왜란 때 조선에 원군을 보내준 明 萬曆帝 神宗과 의롭게 순절한 마지막 황제 崇禎帝 毅宗을 제사하는 萬東廟를 세우고, 스승 우암을 제향하는 華陽書院을 세워 우암 사상을 계승하는 등 조선이 明을 이어 중화를 지켜간다는 ‘小中華主義’의 신념을 실천하였다. 또 그들은 華陽九曲의 명칭을 정착시키면서 우암의 화양동을 조선 문사의 대표적 隱居講學處로서 주희의 무이산과 동일시하며 널리 전파시켜갔다.
    이러한 우암과 그를 계승한 이들의 행적은 은거와 강학이란 性理學的 관념과 義理에 기초한 中國觀을 결부시킴으로써 조선시대 九曲 은거의 새로운 단계를 보여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지나친 崇明主義로 인해 결국 慕華的 관념에 경도되는 원인을 제공했다고도 하겠다.

    영어초록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1607-89) was a Confucian scholar, who advocated the Buk-beol (北伐 litt. to attack the North) in the reign of King Hyo-jong(孝宗). This paper discusses an intelligency of 17th century examining the traces of Uam in Hwayang valley, located in Cheongcheon-myeon Geosan-gun Chungcheongbuk-do.
    Relating to his refuge to Hwayang, it needs to study Zhu Xi(朱熹 1130-1200)'s refuge to Wu-yi mountain(武夷山), Nine sceneries in Wuyi valley(武夷九曲), and nine-valley managements of Joseon literati. Also it needs to investigate the Uam’s retirement to Hwayang valley, building of study house(精舍), coping and treasuring of Ming Emperor’s calligraphies, opening of the Hwayang school(華陽書院), founding of the Mandong shrine(萬東廟), and naming & spreading of the Nine Sceneries of Hwayang valley(華陽九曲).
    After moving to south, the Song government managed softly to Nothern Jurchen regime, Zhu Xi won't go into government serve and refuged to Wuyi mountain in Fujian prefecture. And there he built an study house and was absorbed to study. And he named nine sceneries of the valley and lived harmoniously in nature. These Zhu's achievements became a proper model of refuging and studying to literati scholars of Joseon period, therefore various following phenomena occurred. Specially suffered by the Manchurian invasion in the Transition period, Uam cherished revenge on Manchur, King Hyo-jong also supported it. But as the sudden death of King Hyo-jong this plan had come to nothing. Finally He went into Hyawang velley and built a study house named Amseo-jae(巖棲齋). And he visualized several symbols in his surroundings, and then made the valley into a place that fused Confucian ideas and political notion based on fidelity to Ming. In special, as he got a calligraphy work by the Emporer Chongzhen(崇禎), which written “No courtesy, no move”(非禮不動) from a friend Min Jeongjung(閔鼎重), he engraved it on the cliff of Cheomseong-dae(瞻星臺), and started to hold a memorial service to Emperor Wanli(萬曆) and Chongzhen. From these he made a foundation for practicing his idea of ‘great fidelity to Ming’(大明義理).
    After Uam’s death, his followers as Gwon Sangha(權尙夏 1641-1721) made an progress the Uam’s idea and fidelity to Ming. And they built the Mandong shrine for the Emperor Wanli, who helped Joseon in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and the Emperor Chongzhen, who committed suicide without bending his will against the threat of rebellion head, and built the Hwayang school where Uam was served. Then they succeeded Uam’s idea and practiced the belief of ‘little China’(小中華) that Joseon would kept China in place of Ming. Also settling the name of Nine sceneries in Hwayang valley(華陽九曲), they identified Hwayang valley with Wuyi valley and made the velley as a representative place for ‘refuge and study’(隱居講學).
    These achievements by Uam and his successors could make a new step for nine valley tradition by connecting Confucius idea with political notion based on fidelity. But in the other hand, it might instigate a exceed fondness to Ming, and finally fall into toady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