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순장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the Goryeong Jisandong Tumul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03
39P 미리보기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순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19호 / 125 ~ 163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성

    초록

    대가야의 순장자는 순장묘의 주곽과 부곽, 순장곽에 매장되었다. 순장곽 순장자에 대한 의문이 있었으나 이 순장곽을 일반 대가야 석곽과 비교할 때, 작은 크기이면서금제수하부이식 등의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고, 목곽이나 목관이 사용되지 않은 직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순장자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순장곽의 매장자가 어린이와 노인보다 청장년의 비율이 높음은 그들이 강제적 죽음으로 인했을 가능성을 높여주어 순장자로 볼 수 있게 한다. 다만 몇몇의 순장곽으로 인식되던 것은 별도의 장례가 시행되었다든지 봉분과 함께 축조된 것으로 순장이라기보다는 배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지산동 순장묘를 검토하면 73호분과 75호분에 10인 내외,44호분에 36인 이상, 45호분에 15인 이상, 30호분에 5인 이상, 74호분에 4인 이상, 32호분과 34호분에 각각 2인, 33호분과 35호분에 각각 1인의 순장자가 매장되었다. 따라서 순장자 수는 대략 5인 미만은 개별의 수이나 그 이상은 5의 배수와 10의배수가 된다.
    지산동의 순장은 5세기 초부터 6세기 초까지의 고분에서 관찰되나 더 이른 시기에출발하여 대가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순장자의 수도 증가하고, 순장묘주의 범위도 확대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대가야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지산동 순장묘의 특성은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순장한다는 것과 순장곽을 별도로 축조하면서 순장자를 매장한다는 점, 무덤에서 순장묘주가 중앙의 가장 아래에 배치되어 순장자가 그를 둘러서서 호위한다는 점에 있다. 순장묘주는 남녀의 구분이 없이대가야의 왕과 왕족, 그리고 최고 귀족에 해당하나 남성의 무덤에 더 많은 순장이 시행되었다. 순장자는 순장묘주의 근신자로 호위무사, 의례관련자, 재산관리자, 시종, 비첩 등 주인 생활의 각 방면에서 봉사하던 인물로 상당한 지위를 가진 자들이다. 특히왕의 순장에는 지방의 지배자급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진 자도 있었다. 가족이 대상이된 경우도 상정되고 산채 매장된 것이 아니라 살해된 후에 매장되었다.
    대가야의 순장묘는 그들의 사후생활에 대한 관념인 계세사상에 충실하게 고분이 축조되었음을 적극적으로 지적한다. 이는 고분의 입지, 거기서 출토되는 유물의 풍부함등에서도 확인된다. 순장자가 청장년으로 한참 노동으로 주인에게 봉사할 수 있는 연령대라는 점은 사후에도 생전에 봉사하던 인물을 데려가 봉사를 받아야한다는 순장의 근본 목적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무력적 성격의 지배층 특성에 따른 그들의 사후관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대가야 순장이다.

    영어초록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of Daegaya were buried in the main stoneouter coffin, the subordinate outer coffin, and Sacrificial burial. Sacrificial burial andhuman sacrifices raised a question, bu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is sacrificialburial and the ordinary Daegaya stone outer coffin, it is small and splendor artifacts wereexcavated from it, burial style is not wooden outer coffin or wooden coffin. So this tombcan be recognized by Sacrificial burial. Human sacrifice rates are higher young adults andmiddle-aged people than child and old age men. It is mean that young adults and middleagedpeople were killed by force, they can see human sacrifices. Just, several Sacrificialburial can see subordinate tomb, separate funeral ceremony and was built with the mound.
    Jisandong Tumulus as this standard, No. 73 and 75 had ten human sacrifices,No. 44 had over 36 human sacrifices, No. 45 had over 15 human sacrifices, No. 30 had 5human sacrifices, No. 74 had over 4 human sacrifices, No. 32 and No. 34 had each 2 humansacrifices, No. 33 and 35 had each 1 human sacrifice. The number of human sacrifice canmultiple of five and ten in case of over five, but in case of below five, human sacrifice caneach of number.
    Sacrificial burial of Jisandong have observed tomb between the beginning of theFif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Sixth Century, A.D. But it will make an early startand will be sustainable until the wrack of Daegaya. Over time, the number of humansacrifices have increased and is characterized by the scope of Sacrificial burial’s extension.
    It have relevance to Daegaya’s a progress of development at nation.
    Jisandong Tumulus have distinct features that is the most number of humansacrifices among the Korean Peninsula, buried human sacrifices at a separate outer coffin,the major person of sacrificial burial, he is placed in edge of center, were escorted burialhuman sacrifices. the major person of sacrificial burial is king and queen, noble of Daegaya.
    Human sacrifices is guard warrior, shaman, attendant etc. they have a good social position.
    Particularly, sacrificial burial of the king is such the man as powerful man of region.
    Everybody is not buried alive, but is buried after get the chop.
    Sacrificial burial of Daegaya was reflective of Daegaya’s afterlife, is verified positionof tomb and a great store of excavated relics, etc. Sacrificial burial of Daegaya showssacrifices burial’s fundamental purpose well, the human sacrifices serves to master in deathas in life. Especially, force nature of establishment appeared on the Sacrificial burial ofDaega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