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對日 銅무역 연구 (A study on Copper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5
48P 미리보기
조선전기 對日 銅무역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84호 / 83 ~ 130페이지
    · 저자명 : 민채윤

    초록

    동은 화폐, 무기, 활자 제작 등 여러 가지 용도가 있는 물품이다. 조선에서는 국내의 동 광산을 확보하고 생산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동의 생산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동은 국가 소용(所用)의 물품이라며 민간에 유통할 수 없는 금물(禁物)로 지정하고, 『경국대전』에 성문화하여 동의 생산과 유통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동은 일본으로부터의 수입품으로 주목받았다. 1406년(태종 6) 조선에서는 윤명(尹銘)으로 하여금 동 1천 근을 일본으로 보내 보빙(報聘)하게 하였다. 일본에서는 일본국왕사와 각 지방의 세력들이 조선에 동을 토산물(土産物)로 진상(進上)하고, 이에 대한 하사품(下賜品)을 받는 방식으로 무역하고자 하였다.
    조선으로 동을 수출한 일본 내 지역은 크게 대마도(對馬島), 일기주(一岐州), 구주(九州), 본주(本州)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구주에서는 비주(肥州) 지역에 거주하는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세력과 축주(筑州) 지역에 거주하는 소이전(小二殿) 세력이 조선과의 동무역을 주도하였다. 본주는 일본국왕과 산양도(山陽道) 지역에 거주하는 대내전(大內殿) 세력이, 대마도는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주도하였다. 그 외에 대마도의 수직왜인(受職倭人)과 일기주의 수도서(受圖書)를 받은 경우에도 조선과의 동무역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조・일 관계에서 동은 일종의 물품화폐 역할을 하였고, 동과 함께 면포가 결제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일본에서는 자력 생산할 수 없던 면포를 얻는 일이 우선시 되었고, 동을 무역 이익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조선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동의 무역을 사무역으로 전하는 등의 노력을 보였다. 따라서 조・일 간의 무역에서 동은 조공무역 체제를 근간으로 한 조선전기 대외무역에서 사무역의 허용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영어초록

    The study explores copper trade with Jap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pper has varied usage to produce money, arms, printing metal etc. Joseon was very interested in securing copper mine in the country and producing copper. The production location was recorded on Sejongsilrokjirigi (世宗實錄地理志), Sinjeungdonggukyeojiseungnam(新增東國輿地勝覽) etc. Copper was intended to be systematically produced and distributed.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designated copper as prohibited item to be managed.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copper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import from Japan. 1406(the 6th reign of Taejong) as the trading product with Japan. YoonMyeong(尹銘) was sent to Japan as an envoy with copper in 1,000 Geun(斤). From then, envoy for Japanese King(日本國王使) and powerful regional family presented copper as local product to Joseon and in return, received imperial gift. Thus, trade began.
    The Japanese areas from where copper were exported to Joseon were largely Tsushima(對馬島), Iki Island(一岐州), Kyushu(九州), Honshu(本州) etc. In Kyushu, Kyushu commander(九州節度使)’s force living in Biju(肥州) and Soijeon(小二殿) force in Chukju(筑州) led copper trade with Joseon. In Honshu, Japanese King and Daenaejeon(大內殿) force in Sangyangdo(山陽道) led it while the governor of Tsushima(對馬島主) led the trade in the island. Besides, Japanese with government positions given from Joseon(受職倭人) in Tsushima and Soodoseo(受圖書) participated in copper trade with Joseon.
    In the rel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copper played a role as a kind of money and it became a means of payment together with cotton. Japan preferred getting cotton because they could not produce it. Japan wanted to be paid by cotton in the trade for other items than copper. Japan used copper to obtain trade benefit. To prevent this, Joseon gave efforts like changing public trade into private trade. Accordingly, copper has a great meaning in the trade with Japan that copper made private trade be allowed in the foreign trade in the Early Joseon based on system of tribute tra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