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원식의 동아시아 담론 연구 (Choi Won-sik’s East Asian Discourse Stu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1
30P 미리보기
최원식의 동아시아 담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1호 / 331 ~ 360페이지
    · 저자명 : 전성욱

    초록

    민족문학론과 동아시아론은 40여년에 이르는 최원식의 학문적 여정을 압축한다. 그에게 동아시아는 사유의 단위이자 해석의 텍스트이다. 그러니까 미시적인 경험의 상대가 아니라 거시적인 사유의 대상이다.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1993)은 냉전의 해체와 더불어 한국에서 ‘동아시아의 귀환’을 선언하는 선구적 평문이다. 이후 ‘동아시아’는 한국의 지성사에서 강력한 권능을 발휘하는 거대 담론의 지위를 획득했다. 그의 동아시아론은 ‘창비적 동아시아론’으로의 확립과 함께 고유의 사상적 갱신을 거듭해 나갔다. 그간에 제출되었던 그의 동아시아론을 오롯하게 수습한 것이 『제국 이후의 동아시아』(창비, 2009)이다. 이 책에 수록된 평문을 비롯한 그의 동아시아론은 단지 개인적인 학적 취향의 차원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의 정황에 대한 응대로서 제기되었다. 따라서 그의 사상적 진화과정을 추적하여 음미하는 것은 한국 동아시아론의 역사적 상황논리를 검토하는 일이기도 하다.
    최원식의 동아시아론은 상황의 흐름에 민감하게 자기의 사상을 변이시켜 나간 주체적 응대의 산물이다. 그는 원효의 화쟁, 수운의 동학, 소태산의 원불교, 김지하의 생명 등 내재적인 사상 전통을 천착하고 발굴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유학적 교양주의는 그의 언술 전반에서 짙게 묻어날 만큼 그에게는 중요한 사상 자재이다. ‘해체’와 ‘불가능성’이라는 아포리즘의 수사로 전개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언술에 대해 최원식의 동아시아론은 허무를 희망으로 반전시키려 했던 교양적 주체화의 치열한 도전이었다. 탈역사화의 대세를 역사화함으로써 돌파하려 한 것이 그의 핵심 논지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는 미비했다. 그러니까 당위와 실행 사이의 심연은 깊었다. 최원식의 동아시아론은 역사의 종말이라는 발상에 대하여 천하위공(天下爲公)의 뜻을 견지하였고, 주체의 죽음이라는 논리에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주체성으로 응답하였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East Asian theory comprise the academic journey of Choi Won Sik for over 40 years. For him, East Asia is a unit of reason and the text of interpretation. Hence, it is not an object of a microscopic experience but an object of macroscopic thought. “Seeking the Age of Post-Cold War Era and East Asian Perspectives”(1993) is a pioneering declaring the return of East Asia with the dissolution of the Cold War. Since then, East Asia has gained the status of a giant discourse that has a powerful impact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His East Asian philosophy was reestablished as "CHANGBI East Asian theory" and as his own ideological renewal. East Asia after the empire (Changbi, 2009) is the one that reshaped his East Asian theory submitted in the meantime. His East Asian theories, including the plain texts contained in this book, were put forth not only in terms of personal preference but also in response to concrete circumstances of reality. Therefore, pursuing and appreciating the process of his ideological evolution is akin to reviewing the historical situation of East Asian theories in Korea.
    Choi, Won - sik 's East Asian theory is the product of a subjective response that changed his ideas in keep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He searched for and discovered the inherent tradition of thought such as Wonhyo's Conflict, Donghak of Suwun, Won Buddhism of Sothe Mountain, and Kim's life. Confucianism, especially, was an important source of material for him. The East Asian theory of Choi Won - sik posed a fierce challenge to liberalized subjectivism and it tried to reverse hopelessness with hope. It was his own study that attempted to break through the history of decolonization by historicalization. Significant suggestions were made, but they were not enough to present concrete alternatives. Therefore, the gap between duty and execution was wide. However, he maintained the meaning of ‘天下爲公’ in the rumor that this is the end of history. In response to the rhetoric of the death of the subject, I respond with the subjectivity of ‘爲己之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