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행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홍길동전> 교육의 현황과 과제-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Honggildongjeon (洪吉童傳) education examined through the current textbook : Focusing on middle-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2
48P 미리보기
현행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lt;홍길동전&gt; 교육의 현황과 과제-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55호 / 35 ~ 82페이지
    · 저자명 : 정상원

    초록

    이 논고에서는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홍길동전>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했다. 주지하듯 <홍길동전>은 오랫동안 한국 문학사와 교육 현장에서 공히 높은 가치를 인정 받아온 바 있다. 일종의 정전의 지위를 누려오면서 그동안 적지 않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는 교육과 관련한 논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홍길동전> 교육의 현재적 면모를 다루고 있는 연구는 미진한 상태인데, 대부분 교과서 수록 및 교육 양상을 단편적으로 논의하는 데 머물러 있다. 또한 <홍길동전>을 본제재로 수록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본격적으로 다룬 선행 연구도 3종의 교과서 가운데 1종의 교과서만을 특정한 문학교육관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논의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지금으로서는 <홍길동전> 교육의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만일 고전의 고전성이 그때마다의 지금-여기의 우리에게 어떤 가르침을 부여함으로써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사실로부터 형성되며, 이를 토대로 교육적 가치 및 문학사적 가치가 상보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산출된다는 점에 동의한다면, <홍길동전> 교육의 현재적 모습을 살펴보는 일은 문학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의 영역에 있어서도 유효한 일이다. 물론 이는 <홍길동전>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타당하다.
    한편 <홍길동전>을 본제재로서 수록하고 있는 현행 교과서는 3종인데, 공교롭게도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걸쳐서 한 권씩 고르게 수록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교과서에 수록된 단원의 성취 기준도 각이하다. 이는 의도적으로 위계화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성취 기준을 반영하여 한 작품을 교육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게는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전소설 교육의 면모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미를 찾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본고는 본제재로서 <홍길동전>을 다루고 있는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모두를 대상으로 논의를 개진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이들 교과서를 읽기 전, 중, 후 활동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수록 단원 및 학습 목표, 본문 수록 양상, 날개의 정보와 질문, 학습 활동의 내용, 소‧대단원 마무리 활동 등을 살펴보면서 <홍길동전> 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했다.
    논의의 결과, 갈등과 관련한 성취 기준에 따라 구현된 교과서는 학습자가 교과서에 수록된 갈등의 내용 및 성격을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 있다는 점, 갈등의 해결로 보기 어려운 장면들도 모두 갈등이 해결된 것으로 다룬다는 점, 어떤 갈등을 해결한 것으로 간주하더라도 해결 방식이 교육적이지 못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수정 및 보완이 요청된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 소설에서 ‘보는 이’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는 <홍길동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읽기 전 활동을 마련하고, 교과서 본문으로 수록한 장면과 날개의 정보 및 질문을 소단원의 학습 목표와 긴밀히 연계된 방향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한 성취 기준에 따라 집필된 교과서는 오늘날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작품 속 사회의 모습을 비교 고찰하는 학습 활동을 <홍길동전>의 학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는 지식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공간적 격절의 문제와 관련한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그때-거기와 지금-여기의 현사실성을 고려하여 더욱 섬세한 작업이 요청된다.
    기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이미 발표된 현재의 시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본고의 작업을 토대로 현행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효과를 발굴하거나, 보완 혹은 수정이 필요한 문제들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홍길동전>의 발전적인 교육을 구상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뿐만 아니라 최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국어과에서 설 자리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고전문학의 가치를 다시 보여주고 점검하며 교육적으로 설계하는 작업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status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and its tasks by targeting current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Honggildongjeon has long been recognized for its high value in Korean literary history and education.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us far on enjoying the status of a type of power outage, and this is the same for discussions related to education.
    Nevertheless, research dealing with the current aspects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is incomplete, and most of them only present fragmentary discussions on textbook content and educational aspects. In addition, only one of the three textbooks is analyzed according to a specific literary education perspective, and teaching-learning plans are discussed in advance, including Honggildongjeon as a key sanction.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mplete picture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If we agree that the classical nature of a classic is formed from the fact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life by giving us a certain teaching here and now, and that educational and literary values are produced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ased on this, examining the present aspect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is effective not only in literary research but also in education. This is also valid for work seek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The three current textbooks contain Honggildongjeon as the main sanction; unfortunately, one version is used throughout the first to the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The grading standards of the units in each textbook also differ. Although this is not intentionally sequenced, it is possible to examine aspects of how a work is taught based on its grading standards, and thereby broadly review how education about classical novels is conducted in middle school.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discussions of all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dealing with Honggildongjeon.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Honggildongjeon education are discussed by examining the unit and learning goals, pattern of the text, information and questions on the wings,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and completion activities of small and university units.
    It was found that the textbook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onflict revealed that there are areas in which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conflict in the textbook, that scenes that are difficult to see as resolving conflicts are treated as resolved, and that the methods of solution are not educational, even if any conflict is considered resolved.
    Next, the textbook focusing on “the viewer” in the novel needs pre-reading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Honggildongjeon, and the information and questions on the scenes and wings contained in the main text must be supplemented in a direction closely linked to the learning goals of the sub-unit.
    Finally,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need to supplement the learning activities that compare and examine the appearance of society in the work with the cur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with knowledge that can be formed through Honggildongjeon. In addition, more detailed work is required considering the situation then-there and now-here in relation to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blem of spatiotemporal segregation.
    In fact, now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as already been announced, this discussion is somewhat late. Nevertheles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conception of the developmental education of Honggildongjeon by reveal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urrent textbook or by encouraging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or revised. In addition, whenever the curriculum is revised,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convey and cultivate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rapidly decreasing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