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고르와 동아시아 (Tagore and East As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타고르와 동아시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76권 / 76호 / 229 ~ 250페이지
    · 저자명 : 김재용

    초록

    동아시아 3국 일본, 중국, 조선이 타고르를 수용한 방식의 차이를 통하여 타고르 문학이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의 위상을 차지하는 과정을 밝히는 것과 아울러 동아시아가 단일한 것이 아님을 보여 주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1차 대전에서 중국의 청도에서 독일을 이긴 제국 일본은 영국 프랑스 미국과 더불어 세계열강의 위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아시아의 지도자로 자처하게 되었다. 마침 노벨문학상을 받은 타고르를 초청 활용하여 일본 주도의 아시아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제국 일본은 일본의 내셔널리즘을 비판하던 타고르에 실망한 나머지 더 이상 그를 평가하지 않았다. 중국의 량치차오 등은 타고르의 서구 근대 비판을 높이 평가하여 초청하였으나, 5.4운동 이후 서구 근대의 과학과 이성을 통하여 중국을 개조하려고 했던 이들은 타고르를 전근대적인 이상을 가진 인물 정도로 치부하여 비판하였다. 노신의 말처럼, 타고르와 중국의 만남은 생산적인 대화가 되지 못하고 흐지부지 끝났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여러 통로로 타고르를 초청하였지만 결국 일본 당국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하지만 동아일보 일본 특파원이었던 설의식 등을 통하여 타고르와 조선의 지식인들은 소통하였다. 특히 1929년 일본에서 있었던 설의식의 타고르 회견기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의 식민지 문제에 대한 타고르와 설의식의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은 식민지 지배가 자본주의를 통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민족문제와 계급문제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타고르가 1930년 스탈린의 초청으로 소비에트 러시아를 방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정도로 중요성을 지닌다. 타고르는 동아시아 3국 중에서 방문을 하였던 일본과 중국에서는 내면적인 대화를 하지 못하고 스친 반면, 방문하지 못하였던 조선에서는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와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 사이의 연대를 통한 생산적 대화를 했던 셈이다. 그런 점을 고려할 때 세계문학은 결코 단일하거나 평면적이지 않고 수용하는 이들의 처지에 따라 매우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가 흔히 너무나 자연스럽게 말하는 동아시아라는 단위도 결코 단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제국주의 근대성의 과정에서 동아시아의 불균등성은 결코 지나칠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of Tagore literature in East Asia and to show that East Asia is not a single one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way Japan and China accepted Tagore. Japan, the empire that beat Germany in Qingdao, China in World War I, became the leader of Asia as it took the status of world power along with Brita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mperial Japan, which wanted to raise Japan-led Asia's status by inviting Tagore, who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as disappointed with Tagore, who criticized Japan's nationalism. China's Liang Qiqiao and others highly praised and invited Tagore's modern Western criticism, but those who tried to convert China through Western modern science and reason after the 5.4 movement, criticized Tagore as a person with pre-modern ideals. As Lu-Xin said, the meeting between Tagore and China failed to be a productive conversation and ended in vain. In colonial Joseon, Tagore was invited through various channels, but eventually failed due to interference from the Japanese authorities. However, Tagore and Joseon intellectuals communicated through Sul-Eusik, woh were correspondents of the Dong-A Ilbo in Tokyo. In particular, the meeting between Tagore and Sul-Eusik in Japan in 1929 is of great significanc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agore and Sul-Eusik about Joseon's colonial issues is that colonial rule is through capitalism, so national and class problems can never be thought of separately. This is so important momentum for Tagore’s visit to Soviet Russia at the invitation of Stalin in 1930. Tagore had a productive conversation through solidarity between India, a British colony, and Joseon, a Japanese colony, while Japan and China failed to have an internal conversation. Considering that, it can be seen that world literature is by no means single or flat, an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ose who accept it. Also, the unit of East Asia, which we often refer to so naturally, is never one. We consider inequality in East Asia in the age of imperial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