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1935) 연구 (A Study on Kim Yu-Jeong(金裕貞)'s Rewriting Honggildong-Jeon(洪吉童傳) in 1935)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3.02
27P 미리보기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1935)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5호 / 343 ~ 369페이지
    · 저자명 : 이민희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세상에 알려진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의 이본으로서의 가치와 작품세계를 고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1935년에 잡지 『신아동』에 발표된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의 문학적 성과를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이 작품의 제 특징이 무엇인지를 음미해 보고자 했다.
    김유정 본은 주요 서사 장면을 간결한 필치로 속도감 있게 보여주고 있어 근대 독자의 독서 감각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율도국 건설로 대표되는 후반부 이야기를 완전히 생략해 버리고, 길동이 조선을 떠나는 것으로 처리한 것도 아동 독자를 겨냥해 적당한 분량과 합리적 사건 해결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데 있었다. 그러나 기존 작품들에서 보여주던 주제의식과 주요 서사 골격은 그대로 유지한 채 개작에 따른 개작자만의 문제의식을 읽어내기 어렵다. 후반부의 과감한 생략을 시도한 것은 『홍길동전』 이본 중에서 김유정 본이 처음이다. 그러나 어색한 결말 처리나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주인공의 활약상은 김유정 본이 여전히 고소설 서술 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한편 김유정이 고소설 『홍길동전』을 아동용 독서물로 개작하여 세상에 내놓은 이유를 당시 아동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에 따른 출판물의 필요와 작가 개인의 경제적 요인이란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김유정의 「홍길동전」은 근대 작가의 손을 거친 개작물 중에 최초라는 의의가 인정되나,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말하긴 어렵다.

    영어초록

    It has ever known recently that there was Honggildong-Jeon(洪吉童傳) rewrote by Kim Yu-Jeong(金裕貞) in the New Child[新兒童] magazine published in 1935. This paper is purposed to search for how Kim Yu-Jeong's Honggildong-Jeon is meaningful, and what feature of this new version is. To understand feature of this new vers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his work and evaluate characteristics of Kim Yu-Jeong's Honggildong-Jeon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As a result, we can make sure that Kim Yu-Jeong's version presents the main narrative scenes focusing on the deployment of a fast-paced narrative with concise strokes and meets a sense of modern readers. However, the major narrative skeleton and subject matter in Kim Yu-Jeong's version preserved like existing works, and it's not easy to find his own unique consciousness for rewriting. By the way, scene of yuldoguk(栗島國)'s establishment omitted completely from the later story. That is why ending of the story is considered by the time of institution of society and the reality. These drastic omit the latter part of story presents in Kim Yu-Jeong's version for the first time. But, ending of story is so awkward and narration of hero's activity plays in fantastic and unrealistic way. It shows that Kim Yu-Jeong's version was not deviated completely from the expression and narration of old classic novels. In addition to that, there are not enough that Kim Yu-Jeong's adaptation of the classic novel based on the children.
    We can not understand exactly because of the lack of relevant materials why Kim Yu-Jeong wanted to rewrite Honggildong-Jeon. However, it happened that the interest of the society and intellectual for children's literature expanded gradually, and poverty of Kim's made him to rewrite old classic novel. Although adaptation work clearly has its limitations, Kim's various experimental attempts to rewrite shows that Kim's version occupies a unique position to understand several different versions of Honggildong-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