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과 『노동야학』의 한자 표기와 문체 변화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Writing Style Change and the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Nodongyahakdokbon (『勞動夜學讀本』) and Nodongyahak (『勞動夜學』) by Yu Gilju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6
37P 미리보기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과 『노동야학』의 한자 표기와 문체 변화의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0권 / 2호 / 287 ~ 323페이지
    · 저자명 : 조윤정

    초록

    이 연구는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과 『노동야학』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한자 표기 방식과 문체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길준의 독본에 앞서 부속 국문 표기를 보여주었던 성경, 신문, 교과서와 유길준의 독본을 비교 고찰했다. 그리고 유길준이 논설에서 주장했던 바가 독본에 반영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한자의 독음 처리 방식, 한자로만 남은 어휘를 도표화했다. 이로써 두 독본의 한자(어) 처리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정리했다.
    『노동야학독본』은 『신약마가젼복음셔언ᄒᆡ』, <만세보>, <경성일보>, 『유년필독』에 비해 한자의 수가 적고 독음이 조사나 어미에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훈독과 음독의 사례가 비슷하게 나타났고, 고유어와 단음절 한자 용언의 사용에서 문체의 현대화 경향을 보였다. 다만, 한자 훈독의 일관성이 유지되지는 않았다. 이후, 유길준은 음독했던 한자 가운데 초급 어휘, 동음이의어, 신어를 『노동야학』에서 한자로 남겨 독자의 한자 학습을 이끌었다. 이 분석 결과는 유길준이 『노동야학』을 저술한 이유와 관련된다. 훈독은 음독에 비해 표준화가 덜 되어 있었고, 한국어의 음절 구조에 적합하지 않았다. 유길준은 『노동야학』에서 한자를 소수화하여, 표의문자인 한자를 표음문자인 한글의 문맥 안에서 다룬다. 두 독본은 유길준이 한문맥 안에서 언문일치를 실현하기 위해 두 단계의 문체 실험을 거쳐야만 했음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es and analyzes the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used in Nodongyahakdokbon and Nodongyahak by Yu Giljun. To this end, the author compares the two readers of Yu Giljun with the bible, newspapers, and textbooks from that period, wherein the Korean transcription style was presented to the readers. Moreover, the author tabulated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two readers, which have attached Korean transcriptions or remains without attachment in an attempt to reveal how Yu Giljun’s claim in his leading article reflected on the readers. Through this method, the auth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s shown in the two readers.
    Compared with the Korean Annotation of Gospel of Mark (『新約馬可傳福音書諺解』), Mansebo (<萬世報>), KeijoNippo (<京城日報>), and Yunyeonpildok (『幼年必讀』), and Nodong-yahakdokbon comprise less Chinese characters and the reading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re smoothly used alongside postpositions and endings. In the reader, the reading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re presented as Korean and phonetic readings in a similar proportion and the writing style indicates a tendency for modernizing by using native tongues and predicates of monosyllabic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ot consistent in the book. In addition, Yu Giljun made beginners study Chinese characters by maintain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when they are elementary words or homonyms or neologisms. This relates with why he hurried to write Nodongyahak while not maintaining the transcriptional method used in Nodongyahakdokbon. The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was less standardized, compared with the phonetic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was thus unsuitable for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By minimizing Chinese characters in Nodongyahak, Yu Giljun started to deal with the ideogram i.e.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lphabet, which is a phonogram. The two readers show that he had to go through two different writing styles to eventually reach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in the context of Chinese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