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남(邵南) 윤동규(尹東奎)의 역학사상 연구 (A Study on the I-xue(易學) of Sonam(邵南) Yun Dong-Gyu(尹東奎))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11
27P 미리보기
소남(邵南) 윤동규(尹東奎)의 역학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08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본 논문은 윤동규의 역학사상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윤동규의 저술은 「행장[邵南先生尹公行狀]」과 「제문[祭邵南尹丈東奎文]」을 지은 안정복(安鼎福)의 말처럼 후대에 전할 만한 것은 없고 ‘지의(志疑)’ 몇 권만 있을 뿐이다. 그렇지만 안정복은 「행장」에서 이익이 윤동규가 『태현경(太玄經)』을 잘 알고 있다고 칭찬한 점을 언급하였다. 『태현경』은 윤동규의 역학(易學)을 이해하는데 열쇠가 되는 부분이다.
    성호학파에서 윤동규의 위상은 이익이나 초창기 제자들이 언급한 부분에서 그가 제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였음은 알 수 있다. 그러나 후에 신후담(愼後聃)으로부터 비롯된 ‘공희로(公喜怒) 논쟁’에서 젊은 제자들이 윤동규를 따르기 보다는 신후담의 견해에 동조했던 이병휴(李秉休)의 입장을 따름으로써 성호학파에서 점점 잊히게 되었다. 윤동규가 「계사지의(繫辭志疑)」를 통해 하고 싶었던 말은 소옹(邵雍)의 가일배법(加一倍法)으로 『주역(周易)』을 이해하려고 하지 말하는 것이다. 윤동규는 「계사전(繫辭傳)」이 『주역』의 범례와 같으므로 『주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계사전」을 열심히 읽고, 그로부터 『주역』의 이치가 건괘(乾卦)·곤괘(坤卦)에 담겨져 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윤동규의 서법(筮法)에 대한 견해는 이익을 따라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익은 「시괘고(蓍卦攷)」와 같이 주희(朱熹)의 서법(筮法)에 의문을 가지고 많은 기록을 남긴 반면 윤동규는 ‘자득(自得)’의 정도가 적어서 이익의 범위 내에서 짧은 글 몇 편만을 남겼다. 『태현경』은 한나라 때 만들어진 서적이다. 윤동규가 『태현경』을 연구한 본래 목적은 소옹과 주희를 비판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확장하여 『주역』의 주석서로 만들었다면 좋았겠지만 소옹과 주희를 비판하는 언급에만 그치고 있다. 아쉬운 부분이다. 윤동규의 역학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으므로 그의 말을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Yun Dong-Gyu(尹東奎)’s I-xue(易學) was examined. There has no particular writing of Yun Dong-Gyu(尹東奎) on his theory of changes to be passed down to posterity as Ahn Jeung-Bok(安鼎福), the writer of “Xingzhuang[邵南先生尹公行狀]” said, but there are only a few volumes of ‘Zhiyi(志疑)’. Yet, it’s pointed out in Ahn Jeung-Bok(安鼎福)’s “Xingzhuang[行狀]” that Yi Yik(李瀷) complimented Yun Dong-Gyu(尹東奎) that he knew Taixuanjing(『太玄經』) very well. Yun Dong-Gyu(尹東奎) had good knowledge of Taixuanjing(『太玄經』) because he intended to criticize Shao Yong(邵雍)’s and Zhu Xi(朱熹)’s opinions. Yet, it is a pity that Yun Dong- Gyu(尹東奎)’s opinions haven’t been left as independent books.
    Regarding Yun Dong-Gyu(尹東奎)’s status in Seongho school, it is certain that he was the best pupil judging from what Yi Yik(李瀷) or the early disciples mentioned. However, he began to be forgotten in Seongho school because, in the ‘Gongxinu(公喜怒) argument’ begun from Shin Hu-Dam(愼後聃) later, young disciples followed Lee Byeong-Hyu(李秉休)’s stance, who agreed on Shin Hu-Dam(愼後聃)’s opinion, rather than that of Yun Dong-Gyu(尹東奎).
    Yun Dong-Gyu(尹東奎) intended to argue through “Xicizhiyi(繫辭志疑)” that I-ching(『周易』) shouldn’t be understood with Shao Yong(邵雍)’s Jiayibeifa(加一倍法). Yun Dong-Gyu(尹東奎) argued that because “Xicizhuan(繫辭傳)” had the same legends as in I-ching(『周易』), one must read “Xicizhuan(繫辭傳)” hard in order to understand I-ching(『周易』), and that the reason of I-ching(『周易』) was in Qiangua(乾卦) and Kungua(坤卦). Yun Dong-Gyu(尹東奎)’s understanding of divination method(筮法) seems to have followed that of Yi Yik(李瀷). Yet, while Yi Yik(李瀷) questioned Zhu Xi(朱熹)’s divination method(筮法) and has left records as in “Shiguakao(蓍卦攷)”, Yun Dong-Gyu(尹東奎) has left only a few short writings because of a little ‘self-apprehension(自得)’.
    Taixuanjing(『太玄經』) is a Taoist book written during Han Dynasty. Yun Dong-Gyu(尹東奎)studied Taixuanjing(『太玄經』) originally for the purpose of criticizing Shao Yong(邵雍)’s and Zhu Xi(朱熹). Yet, he didn’t write an independent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