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중반 국가 정체성 형성에 있어 전쟁과 소녀* : <돌아오지 않는 해병>과 <불붙는 대륙>을 중심으로 (War and Girls i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the Mid-1960s: Focus on The Marine Who Never Returned (1963) and The Burning Continent (1965))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12
29P 미리보기
1960년대 중반 국가 정체성 형성에 있어 전쟁과 소녀* : &lt;돌아오지 않는 해병&gt;과 &lt;불붙는 대륙&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49호 / 69 ~ 97페이지
    · 저자명 : 이대범

    초록

    본 연구는 1965년 한 ․ 일국교정상화 전후 국가 정체성 형성에서 전쟁영화인 <돌아오지 않는 해병>(1963)과 만주액션영화인 <불붙는 대륙>(1965)에 투사된 정치적 수사학을 살피고자 한다. 문화상품으로서 영화는 이데올로기 혹은 대중의 욕망만으로 채울 수 없다. 그러기에 영화는 지배담론과 저항담론의 중층적으로 결합된 수사학의 체계라고 할 수있다. 두 영화는 전장의 스펙터클, 적대의 재현양상, 적대에 의한 아버지의 죽음, 전장의 고아 소녀, 군인을 통한 유사가족 형성 등 많은 유사점을가지고 있다. 그러나 두 영화의 대립구도는 차이가 있다. <돌아오지 않는해병>은 ‘남한과 북한’의 구도이다. 반면, <불붙는 대륙>의 ‘남한과 제국주의 일본’의 대립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아버지로 제시된 강지석은갱생과 내치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가난으로 죽은 어머니도 관련이 있다. <불붙는 대륙>의 아버지는 1965년 지배담론이 이야기하는아버지 상과 일치한다. 그렇다면 <불붙는 대륙>의 대립구도는 일본을제국주의에 한정한 것이다. 1965년 지배담론은 적대로서 제국주의 일본을 설정하여 민족의 정당성을 획득하고, 현재 일본과는 협력하여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rhetoric of The Marine Who Never Returned (1963) and The Burning Continent (1965) in the formation of post-war national identity in 1965. Films are not texts composed solely of ideology or popular desire; rather, they are rhetorical systems that are layered with discourses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The two films share similarities in terms of battlefield spectacle, representations of the enemy, the death of a father by the enemy, an orphaned girl on the battlefield, and the formation of a pseudo-family through soldiers. However, the two films differ in their framing of opposites. The Marine Who Never Returned is a ‘South Korea vs. North Korea’ film. On the other h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imperialist Japan in The Burning Continent i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is process, Kang Ji-seok, who is presented as a new father, is related to the issues of rehabilitation and inner peace. It also involves his mother, who died in poverty. These issues are consistent with the father figure of the dominant discourse of 1965.
    The confrontation in The Burning Continent, then, limits Japan to imperialism. In 1965, the dominant discourse set up imperial Japan as the enemy to gain national legitimacy and to get out of poverty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current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씨네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