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복의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의 상징성-≪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의 1980년대적 좌표 (The Symbolism of the Spaces in the Early Poetry by Lee, Seong-Bok-The Coordinates in 1980’s of When does the rolling stones wake up?)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8.10
30P 미리보기
이성복의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의 상징성-≪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의 1980년대적 좌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6호 / 279 ~ 30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숙

    초록

    이성복은 이 시집에서 ‘아버지·어머니·누이’로 표상되는 인물군을 ‘금촌’이라는 소도시와 ‘유곽’과 ‘먼 나라’라는 장소, 그리고 ‘그 시간’에 대한 집착을 통해 1970년대 지식인 남성의 사회적․실존적 좌표를 설정하는 데 성공하였다. 본고는 문학사적으로 80년대를 열었다는 의의를 지니는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를 꼼꼼히 읽으면서 이후 시인의 시세계에서 주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가족이 거주하는 공간의 상징성을 살피고, 글자 간격과 시행의 작위적 배치를 통해 의도한 ‘먼 나라’의 숨은 지도를 공개함으로써 시의 내용과 형식에 드러난 공간의 상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런데 이성복 시집의 전편에는 인간 일반의 실존적 슬픔보다 특정 시공간에 존재한 남성의 슬픔만이 강조되고 있다. 그의 시에서 ‘어머니’와 ‘누이’ 라는 여성 주체는 그의 슬픔을 해명하기 위한 소재로써만 대상화되어 있을 뿐 화자가 살고 있는 특정 시공간의 한계를 인지하거나 함께 극복해 나갈 동반자적 주체는 아니다. 그러나 그의 시의 ‘유곽’에는 자기와 누이에 대한 연민이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유곽’시와는 다르다. 그는 자신이 처한 부정적 상황의 은유를 강박적으로 되풀이함으로써 시대의 아픔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시행을 의도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그는 시어의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시각화하여, 시어의 자간 행간 간격 사이에도 의미망을 형성하였다. 그 가운데서 특히 「다시, 정든 유곽에서」는 이 시집이 가진 공간 상징의 지도를 숨겨 놓은 시편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과 지성사의 시집 판형이 작아 그가 의도한 시어의 의도적 공간 배열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없었으므로 독자들은 이제껏 그 비밀을 눈치 채지 못했다. 그는 「다시, 정든 유곽에서」의 제 5부의 내용을 한반도 지도로 형상화함으로써 자신이 추구하는 먼 나라가 통일된 한반도 그 자체임을 암시하였다. 이성복은 타고난 시적 자질을 충분히 발현해 시인으로서의 시대적 임무를 성실히 수행한 시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mbody the feature of the spaces and the hidden map of ‘remote country’ in the anthology of poems, ≪When does the rolling stones wake up(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of a 70s’ representative poet Lee, Seong-Bok. As he puts the emphasis on the grief of male characters in the most of his early poems, female characters such as a mother and a sister were materialized as an object, rather than subject. Therefore he was incapable of figuring out the details of the women characters and bounded by the limit of that time and the space his own era. The sympathy for women, a trail to alleviate the pain and sorrow of that age, was expressed in the poem <Licensed quarters(유곽)>.
    Further, his intentional unique arrangement of words was of use as a tool of symbolism. In the poem <Again, beloved licensed quarters(다시, 정든 유곽에서)>, the vacant spaces between words and lines visualized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as aspired ‘remote country.’ Lee, Seong-Bok may be estimated to have fully demonstrated his born talents and fulfilled his endowed duty as a po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