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pop 여성 아이돌의 유튜브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제의적 요소 -〈당금애기〉와 〈언포기븐〉의 비교 고찰- (The ritual elements appearing in the YouTube music video of a K-pop female idol group -A Comparative Study of 〈Danggeumaegi〉 and 〈Unforgive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5
33P 미리보기
K-pop 여성 아이돌의 유튜브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제의적 요소 -〈당금애기〉와 〈언포기븐〉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3호 / 735 ~ 767페이지
    · 저자명 : 최재경

    초록

    본 연구는 ‘금기를 위반한 여성’의 이야기를 공통적인 내용으로 가진 고대 서사무가 〈당금애기〉와 케이팝 여성 아이돌 르세라핌(LE SSERAFIM)의 〈언포기븐(Unforgiven)〉을 제의와 뮤직비디오라는 형태로 비교함으로써, 〈언포기븐〉에 나타난 제의적 속성을 밝혀내고 이러한 제의적 속성이 갖는 현대적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금애기 신화’의 연행으로서의 〈당금애기〉 굿과 ‘언포기븐’이라는 노래의 연행으로서의 뮤직비디오 〈언포기븐〉을 비교하기 위해 양쪽 모두를 극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마틴 에슬린이 정리한 5가지 ‘모든 극매체에공통적인 기호체계’를 변용하여 ‘(1)극 바깥의 외곽 체계 (2)공연자의 행위 기호체계 (3)공연자의 비행위 기호체계 (4)공연자 이외의 시각적인 기호체계 (5)텍스트’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언포기븐〉은 외형상 오락을 목적으로 한 뮤직비디오임에도 불구하고, 5가지 항목 모두에서 〈당금애기〉처럼 제의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당금애기〉와〈언포기븐〉은 오랜 세월의 격차, 제의와 뮤직비디오라는 형식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둘 다 가부장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약자로서의 여성이 느끼는 억압과 그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서사 내용에 반영하고, 이 내용을 현실 속에서 춤과 노래 등의 연행을 통해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제의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다만 〈당금애기〉는 여성에게 내면화된 남성적인 관점에서 현실의 문제를 ‘각자 인내하기’로 해결할 것을 여성 관객들에게 제시하였다면, 〈언포기븐〉은 오늘날 젊은 여성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여자들끼리의 연대를 통한 저항하기’로해결책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결국, 뮤직비디오 〈언포기븐〉이 가진 제의적 속성은 모든 것이 자유로워 보이는 현대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전히 “어두운 시대의 대물림”으로서의 성차별과 여성에 대한 억압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여성들의 정신적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한풀이’와 같은 제의적 기능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ritual of an ancient epic 〈Danggeumaegi〉 and the music video 〈Unforgiven〉 of K-pop female idol LE SERAFIM. They have in common the story of a ‘woman who violated a tab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itualistic attributes shown in the music video 〈Unforgiven〉 and to examine the modern meaning of these ritualistic attributes.
    In order to compare the 〈Danggeumaegi〉 ritual as a performance of the ‘Danggeumaegi myth’ and the music video 〈Unforgiven〉 as a performance of the song ‘Unforgiven’, both a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play by the theory of Martin Esslin’s ‘five sign systems common to all dramatic media’.
    We transformed the five systems into ‘(1) the outer system outside the play, (2) the performer’s action sign system, (3) the performer’s non-action sign system, (4) the visual signs other than the performer. (5)text’, and analyzed 〈Danggeumaegi〉 and 〈Unforgiven〉 by them.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revealed that 〈Unforgiven〉 contains ritualistic elements like 〈Danggeumaegi〉 in all five systems. Despite the long gap between 〈Danggeumaegi〉 and 〈Unforgiven〉 and the formal differences in ritual and music video, both of them depict the oppression and resulting pain felt by women as the weak in a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in their narrative content.
    It was revealed that it shows a similar ritual structure in that it reflects and attempts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reality through performances such as dance and song. However, 〈Danggeumaegi〉 suggested to women that they should solve real-life problems through ‘each individual’s patience’ from masculine perspective internalized by women. 〈Unforgiven〉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at it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today’s young women and proposes a solution through ‘resistance through solidarity among women.’ In the end, the ritualistic nature of the music video 〈Unforgiven〉 shows that for modern Korean women, who seem to be free in everything, there is still ge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of women as a “hand-down from the dark era” and the resulting pain of women.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a ritual function such as ‘Hanpuri’ is needed to resolve the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