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과서에 나타난 향가 교육의 문제 - 「서동요」의 ‘借字’와 「찬기파랑가」의 ‘조약돌’을 대상으로 -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Hyangga Contained in High School Textbooks:with a special focus on "chaja" in "Seodongyo" and the "pebbles" in "Changiparangg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5.05
28P 미리보기
교과서에 나타난 향가 교육의 문제 - 「서동요」의 ‘借字’와 「찬기파랑가」의 ‘조약돌’을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38권 / 73 ~ 100페이지
    · 저자명 : 박재민

    초록

    본고는 현행 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보이는 향가 교육의 오류를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이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크게 어학적․문학적 부문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어학적 부문의 경우 향찰이라는 차자표기의 기본 원리에 대한 설명에 큰 오류가 있음을 지적했다. 향찰표기는 원래 ‘正用字[일반한자] + 借用字’로 어절이 구성되며 정용자는 ‘音讀字’와 ‘訓讀字’로 세분되고 차용자는 ‘音借字’와 ‘訓借字’로 세분되는데, 현행 교과서에서는 음독자와 음차자를 동일시하고, 훈독자와 훈차자를 동일시하여 수록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이에서 연원하여 ‘음차자’와 ‘훈차자’가 구사되는 문법적 위치 또한 ‘음차자는 語頭에, 훈차자는 語末에 온다’고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본고는 향찰에 쓰인 字를 ‘정용자 / 차용자’로 대별하고 정용자는 다시 ‘음독자와 훈독자’로, 차용자는 ‘음차자와 훈차자’로 나누는 것이 향찰표기의 기본 원리이고 교육 또한 이에 준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문학적 부문의 경우 찬기파랑가의 ‘磧惡希[냇가 자갈밭에서]’에 대한 교육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했다. 소창진평이 ‘磧’을 ‘냇가 돌무덤’의 의미로 正解한 이래 많은 연구자들이 이에 동조했었는데 교과서에서는 연구현장의 성과를 정당히 반영하지 않고 ‘조약돌’의 의미로 풀이하고 있는 현황을 비판했다. 교과서에서 이를 ‘조약돌’로 풀이한 후, ‘기파랑의 인격’과 관련지어 교육하고 있는데 그렇게 된 연원을 되짚어 이것이 양주동의 설을 誤認하여 생긴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 과정에서 ‘磧’의 정확한 의미를 보여주는 여러 자료를 발굴하여 학계에 보고하게 된 것도 하나의 소득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indicate the misunderstandings of hyangga at the level of secondary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roper ways of their modification. For this purpose, a bipartite examination was undergone linguistically and literarily.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I pointed out that the fundamental knowledge of hyangchal, or the authentic writing system of the Silla dynasty, contained serious misunderstandings. Hyangchal is composed of jeongyongja, or the Chinese letters used in their natural meaning, and chayongja, or the letters simply borrowed from Chinese to indicate sounds. Jeongyongja is subdivided into eumdokja and hundokja, while chayongja is grouped into eumchaja and hunchaja. The main problem in understanding these concepts at the level of secondary education is that eumdokja is confused with eumchaja, and hundokja with hunchaja. To make things worse, these misunderstandings caused another confusion about the locations of these subgroups of hyangchal, explained that eumchaja is located at the front of a word, whereas hunchaja at the rear. In this paper, I clarified that hyangchal should be grouped into jeongyongja and chayongja, while jeongyongja is subdivided into eumdokja and hundokja, and chayongja into eumchaja and hunchaja. This should be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yangchal, on which the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should be based.
    With regards to the literary interpretation, I indicated that the explanation of "jeok-ak-hui" has not been correct. 'Jeok' has been translated into "the pile of stones along the river" by many scholars since Okura Sinpei interpreted as such. However, this proper interpretation was not considered in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and the word "jeok" has been misinterpreted as "pebbles". This confusion resulted in another incorrect metaphoric interpretation, which related the word "jeok" to Giparang's personality. The origin of this rampant misunderstanding can relate back to the distortion of Yang Ju-dong's theory. While I examined this problem, I discovered various materials that presented the exact meaning of "jeok", which was also another fruit of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