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왕족의 남아 돌복에 나타난 문양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궁중복식 문헌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Appeared in Boy's First Birthday Clothes of the Roy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documents on royal court costum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11
2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왕족의 남아 돌복에 나타난 문양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궁중복식 문헌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3호 / 29 ~ 52페이지
    · 저자명 : 전희정

    초록

    태어나서 처음으로 갖추어 입히는 의례복을 돌복이라고 하며 이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관습이나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어 있어 사상이나 가치관 등의 삶의 방식이 전승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 남아 선호사상을 선호하였기에 남아 돌복이 가지는 의미가 더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돌복을 주제로 다룬 연구도 부족하지만, 특히 돌복에 나타난 문양을 독립적으로 다룬 연구는 아주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나타나 있는 조선 후기 왕실 왕자의 돌복을 중심으로 남아 돌복에 나타난 문양, 상징성, 시문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기가 태어나서 1주년 되는 날을 돌이라 말하며 이를 초도일(初度日)· 수일(晬日)·주년(周年) 등이라고도 부른다. 돌을 맞은 아이는 남녀 구별을 하기 시작하면서 남아에게는 남색 고름, 여아에게는 홍색고름을 하여 특별히 만들어 입히는 옷을 돌복이라고 하며, 돌복은 아기가 입는 옷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차림으로 현재까지도 전래하고 있다.
    둘째, 반가나 민간의 돌복이 반드시 정형화 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경제적 여건 등의 차이를 제외하면 왕실의 돌복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셋째, 돌복에서 저고리, 두루마기의 고름을 길게 하여 돌려 맨 것은 장수를 기원하는 것으로 돌상에 국수나 무명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넷째,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은 유교적, 주술적, 무속적인 면이 혼합되어 자연문이 주를 이루며, 돌복에 시문된 문양은 한 가지만을 사용한 경우는 드물고 동물문과 식물문, 동물문과 길상문, 식물문과 기하문, 자연문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문양의 출현 빈도를 보면 길상문과 길상 어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화(花)문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문 방법에서도 복식에 직문법 한 가지만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직문법과 금박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금박만 사용한 것은 쓰개와 다홍전대이며 자수법은 버선에만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본 연구 결과 남아 돌복에 사용된 여러 가지 문양과 상징성, 이들에 사용된 시문 방법들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돌복이 갖는 전통적인 가치와 의미, 조상들이 자식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의 극대화를 엿볼 수 있었으며 첫돌 의례는 전통문화로서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남아 돌복, 영친왕 일가, 조선조 후기, 문양, 시문 방법,

    영어초록

    The ritual clothes worn for the first time in life are called DolBok.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al customs or symbolic meanings of the Korean people have been given, indicating that ideas, values, and ways of life have been passed dow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 the preference for boys was preferred, so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boys' DolBok was greater and important. There was not only a lack of research on the theme of DolBok, but also research dealing independently with the patterns on DolBok were very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patterns, symbolism, and Shimoon methods that appeared on DolBok which focusing on DolBok from the royal pr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day of a year after birth is called a Dol. Dol also can be called Chodoil (初度日), Suil (晬日), Junyeon(周年) or Suil(晬日). Baby who just became Dol began to distinguish between men and women, and Dolbok for boys was worn with navy Goreum. Dolbok was the most representative clothes worn by babies and are still handed down to these days.
    Second, Yangban and civil's Dolbok was not necessarily formalized, but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oyal Dolbok except for differences in economic conditions.
    Third, wearing the Goreum of Jeogori and Durumagi from Dolbok is a wish for longevity and can be seen as the same meaning as using noodles or cotton thread on the Dol.
    Fourth, it was rare to use only one pattern on DolBok, and it was used in combination of animal and plant patterns, animal and Gilsangmun characters’ patterns, plants and geometric patterns, and nature patterns. In particular, Gilsangmun and Gilsanguhmun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followed by Hwamun.
    Fifth, in the method of Shimoon, only one direct method was used for costume, followed by a mixture of direct method and gold foil, and only gold foil was used for the use of the Ssgae and the Dahongjeon, and embroidery method was used only for the Busun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various patterns and symbols used in DolBok and the traditional value and meaning of DolBok. Also, we were able to know the heart that the ancestors love and care for their children were seen. Therefore, the first Dol ritual should continue as a traditional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