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Sosoewon’ in Korea and the Aesthetic of Natu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9
26P 미리보기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권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최동호

    초록

    우연한 기회에 필자는 일본의 「돌의 정원」과 중국 소주의 「졸정원」을 찾아가 보았다. 그리고 몇 년 후 전라도 장성의 「소쇄원」을 가보게 되었다. 처음부터 어떤 학문적 목적을 가지고 이 세 곳을 방문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중에 역으로 생각해 보니 이 세 정원은 각기 그 나라 문화의 한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작고 조촐한 것이기는 하지만 16세기 초반에 조성된 「소쇄원」은 한국 선비 문화의 전통은 물론 한국인의 미학적 특성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명소가 아닌가 여겨졌다.
    처음부터 학문적인 의도를 가지고 본격적인 준비를 가지고 처음부터 시도한 고찰이 아니어서 치밀한 분석이나 논증을 시도했던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마간 논문 집필에 고심하였다. 그러나 필자의 발길과 눈길에 스쳐 간 현장 체험을 토대로 작성되었다는 것이 오히려 이 글의 장점이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할 때 자연을 자신의 정원에 끌어들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 한 거대한 토목 공사에 의해 조성된 것이 중국의 「졸정원」이라면 한국의 「소쇄원」은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과 하나 되는 소통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양자의 차이가 있다. 일본의 「돌의 정원」이 성속이 차단된 공간 속에서의 선적 명상을 불러일으키는 메마른 공간이라면 한국의 「소쇄원」은 찾아오는 이를 마다하지 않고 기쁘게 맞이하는 열린 소통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가의 노장 사상이 깊게 배어 있는 한국인의 미의식은 일본의 인공적인 적멸의 산수가 아니라 생명이 있는 자연미를 추구하며 인간과 자연이 일체화되는 자연미를 우선시하였다. 그 결과 산수자연의 운행을 알려주는 물을 살아 있는 생명체로 여겨 자연 그대로 흘러가는 계류를 중심에 두어 「소쇄원」의 공간을 구성한 선인들의 지혜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여기서 나아가 무명가인의 시조를 통해 한국인의 심성에 각인된 자연미의 지향점에 대해 논했다.

    영어초록

    I happened to visit 'The Garden of Stone' in Japan and 'Jolchungwon' in Soju, China. Some years later, I visited 'Sosoewon' in Changsung, Chollado province. I did not mean to visit there for some academic purposes from the outset.
    Later on, it occurred to me that the three gardens respectively show their ow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Though small and simple, 'Sosoewon' made in early 16th century seems to be regarded as a famous site represent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s as well as the tradition of Korean 'Sonbi' culture.
    This paper did not aim at the elaborate analysis or argumentation, since it was not attempted on the academic purpose at the outset. However, the advantage of this paper may be said that it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writer's actual visit to the three gardens.
    In conclusion, Chinese 'Jolchungwon' can be said to be made by an enormous engineering work in an attempt to make nature its own by bringing nature into its own garden. On the contrary, Korean 'Sosoewon,' as a part of nature, can be called a space of communication by becoming one with nature. This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gardens. On the other hand, whereas Japanese 'The Garden of Stone,' is a dry space to arouse a Zen meditation in a space where the sacred is cut off from the secular, Korean 'Sosoewon' can be called an open space for communication where any visitors are received with a warm welcome. This is also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gardens. Korean sense of beauty deeply immersed in Taoism focuses on the unification of humans and nature, pursuing the natural beauty of life instead of the artificial landscape of annihilation found in the Japanese sense of beauty. As a result, regarding water, which informs the circulation of nature, as a living thing, this paper discusses the wisdom of our ancestors who made a wonderful space, 'Sosoewon,' in the center of which flows a mountain stre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