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복 초기시의 타자 연구 -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 금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ther of Lee Seongbok's early poem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5
31P 미리보기
이성복 초기시의 타자 연구 -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 금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55호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오랫동안 시는 일인칭의 장르로 이해되어 왔고, 따라서 시에서의 화자는 단일한 자아의 목소리라는 전제가 당연시 되었다. 하지만 최근 현대시의 화자, 혹은 시적 주체에 대한 연구가 그 범위와 깊이를 더해가면서 시적 언술에서 다양한 시점과 발화(發話)의 지점을 발견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성복의 시를 다시 읽을 여지 역시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생겨난다. 특히 이성복의 초기시에서 주체는 민족/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자주 등장하는데, 이 주체를 미리 마련된 입장에서 준비된 발언을 기획하는 자로 이해할 경우 이성복의 시는 지극히 단순하고 상투적인 시로 전락하게 된다. 이성복 시의 주체는 시적 화자가 호명하는 타자들에 둘러 싸여 있는, 타자로부터 자신의 존재(감)를 부여받는 수동적인 자리에 놓여 있다. 특히 민족/가족 표상을 통해 드러나는 타자에 대한 사유가 이성복 시의 주체가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단적으로 반증한다. 이성복의 시는 타자와 타자성을 통해서 쓰인다고 할 수 있는데, 주체의 기획이 시라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게 아니라 타자에 대한 예민한 감각이 주체로 하여금 말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주체가 타자를 수긍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주목하는 근대적 사유 체계를 뒤집어, 타자가 주체를 구성하는 방식을 예비하는 특별한 창작 방식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이성복의 초기 시에서는 민족/가족 표상을 통해서 타자의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민족/가족이라는 양가적인 속성을 지닌 공동체를 통해서, 시의 화자가 상대하는 세계의 이중적인 면모를 파악할 수 있고, 그 가운데 어느 쪽으로도 수렴되지 않는 타자의 자리를 발견하게 된다. 그런 타자는 역사적으로 가난하고 병들었지만 아프다고 말할 수 없는 자들이거나, 그들의 아이들의 모습으로 예기된다.

    영어초록

    Poems have long been understood as a genre of the first person and therefore, it has been natural to think that the speaker of a poem is the writer him or herself. Recently, extensive and in-depth studies of speakers or subjects of modern poems have examined various perspectives and points of articulation in the structure of statement. The results make one reread poems written by Lee Seongbok. In his poems, the subject is often an ethnic group/a member of a family. If this subject is understood as someone who makes a statement that was planned, his poems become nothing more than ones that are so simple and a cliche. The subject of his poem is passive as it is surrounded by others called by the poem's speaker and its presence is given by others. Especially, reasons for others' presence revealed through an ethnic group/a family clearly shows who the subject of his poems is. In other words, his poems are written by others and others' presence. This is a different way of creation that defies the modern system of reasoning focusing on ways a subject accepts and understands others, expects and prepares the way others define a subject's presence.
    This paper examines Lee Seongbok's early poems where others' presence is found through symbols of an ethnic group/a family. An ambivalent community of the ethnic group/the family demonstrates an equivocal aspect of the world that the speaker of the poems lives in and shows where others are present. In his poem, others are people who have been poor and sick but can't say they are sick or their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