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돈황사본 지론종문헌 Stein 613V 제 21장「經辨五住地煩惱義」에 나타난아비달마 교리에 대해 (On the Abhidharma Doctrines Found in the 21st Chapter of the Dunhuang Manuscript Stein 613 Verso of the Dilun School, “Jingbian wuzhudi fannao y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돈황사본 지론종문헌 Stein 613V 제 21장「經辨五住地煩惱義」에 나타난아비달마 교리에 대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8호 / 299 ~ 328페이지
    · 저자명 : IKEDA MASANORI

    초록

    잘 알려진 것처럼 돈황사본 중에 현존하는 지론종 관련 문헌들은 지론종연구를 위한 1차 자료 중 하나이나, 각 문헌의 정확한 성립지나 성립년대, 성립순서 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돈황사본 지론종 문헌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인 Stein 613V의 제21장「經辨五住地煩惱義」에 나타난 아비달마적 교리를 분석함으로써 Stein 613V의사상사적 위치를 밝히고자 한다. 본고의 고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ein 613V 「經辨五住地煩惱義」의 “章” 부분에서 無明의 정의와 見一處住 地⋅三愛住地⋅無明住地의 정의에 보이는 아비달마 교리는 거의 대부분 『成 實論』에 기초한다.
    2. 이 중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見一處住地의 정의 중에 보이는 “四諦 平等”이라는 개념이다. 이것은 『成實論』의 滅諦斷惑說에 기반한 것이며, 『大 般涅槃經集解』의 寶亮(444-509)釋이나 西魏 大統 5년(539) 서사된 『大涅槃經義 記』 권제4에도 동일한 용례를 찾을 수 있다.
    3. “四諦平等”의 개념에 대한 남북조 시대 『涅槃經』 주석서의 주석내용을비교하면 『大般涅槃經集解』 → 大統 5년 서사 『大涅槃經義記』 권제4 → 돈황사본 『涅槃經疏』(BD00260) → 慧遠(523-592) 『大般涅槃經義記』의 순으로 『成 實論』에서 「毘曇」으로의 해석이 이행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Stein 613V 「經辨五住地煩惱義」는 이러한 사상사적 흐름에서 초기 단계에 위치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my study is to clarify the position of the Dunhuang manuscript Stein 613 verso, one of the most eminent texts of so-called Dilun (地論) School. For that reason, I examined the Abhidharma doctrines found in Chapter 21 of the Stein 613 verso, “Jingbian wuzhudi fannao yi” (經辨五住地煩惱義, the doctrine of the five *sthavāsabhūmis explained in the sūtra). My findings are as follows: 1. Almost all of the following are based on the *Satyasiddhiśāstra (or *Tattvasiddhiśāstra): the Abhidharma doctrines found in the “zhang” (章, the proposition) of the “Jingbian wuzhudi fannao yi,” the definition of avidyā and of *ekadṛṣṭiṣṭhavāsabhūmi, the three *rāgasthavāsabhūmis and the avidyāvāsabhūmi.
    2. It is the concept of “the equal catuḥsatya,” found in the definition of *ekadṛṣṭiṣṭhavāsabhūmi, that we should especially examine in these doctrines. This concept is based on the “theory of extinguishing kleśas by contemplating nirodhasatya,” a theory insisted on by the *Satyasiddhiśāstra.
    We can find the same concept in Baoliang’s (寶亮) (444-509) commentaries on the Mahāyāna Mahāparinirvāṇasūtra (MPS) which is contained in the Da banniepan jing jijie (大般涅槃經集解, Selected Commentaries on the MPS) and in Fascicle 4 of the Da niepan jing yiji (大涅槃經義記卷第四, Commentary on the MPS) copied in Datong (大統) 5 (CE 539) of the West Wei (西魏).
    3. Comparing th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the equal catuḥsatya” which are seen in some commentaries on the MPS that were written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e can determine that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s shifted from the *Satyasiddhiśāstra to the “pitan” (毘曇, Sarvāstivāda) in the following order: the Da banniepan jing jijie → Fascicle 4 of the Da banniepan jing yiji → Dunhuang manuscript Niepan jing shu (涅槃經疏, the Commentary on the MPS) (BD00260) → Huiyuan’s (慧遠) (523-592) Da banniepan jing yiji (大般涅槃經義記, the Commentary on the MPS). I thus conclude that the “Jingbian wuzhudi fannao yi” is loca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current history of Chinese Buddhist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