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 제61굴과 오대산(五臺山) 문수진용(文殊眞容) (Cave 61 at Mogao Grotto in Dunhuang and the True Visage of Bodhisattva Manjusri at Mount Wutai in Chin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08
41P 미리보기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 제61굴과 오대산(五臺山) 문수진용(文殊眞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4호 / 135 ~ 175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10세기 중엽 경 돈황 막고굴에 조영된 제61굴에는 15.5미터의 길이에 달하는 주벽에 <오대산도(五臺山圖)>가 그려져 있다.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위치한 오대산은 늦어도 7세기부터 문수보살의 주처(住處)로서 여러 가지 신비로운 화현(化現)이 목도되는 곳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중국 내에서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심지어 인도에서도 여러 구법승(求法僧) 및 신도(信徒)들이 순례(巡禮)를 오는 성지(聖地)가 되었다. 그리고 10세기에는 특히 문수보살의 참모습(眞容)을 그대로 본떴다고 알려진 보살상이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오대산의 현황을 벽화로 재현한 막고굴 제61굴의 의미와 기능을 성지의 전위(轉位, transposition)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한다. 사자를 탄 문수보살의 상을 불단 위에 놓고, 그 뒤편으로 펼쳐진 주벽에 <오대산도>를 배치한 제61굴의 구성이 10세기 당시 오대산 지역에서 행해지던, 진용이라 불리던 상을 중심으로 한 순례의 패턴을 그대로 재연(reenact)했음을 문헌, 시각 자료의 고찰을 통해 밝힌다.

    영어초록

    The 10th century was one of the most prosperous periods in the history of Dunhuang. Old Buddhist shrines were assiduously renovated, and new cave chapels were successively constructed in an unprecedentedly grandiose scale. The centerpiece of this paper is one of such Buddhist cave chapels, Cave 61,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illustrious Cao family, the de facto ruler of the region, sometime in mid-10th century.
    The uniqueness of the cave is found in two aspects. First, it stores the well-known panoramic depiction of Mount Wutai, a Buddhist sacred mountain located in northeast China and is believed as the abode of the Bodhisattva Manjusri. Second, it housed the imposing bodhisattva icon which is now-missing, but once stood on the central altar of the cave, surrounded by a depiction of the mountain as its backdrop.
    This paper addresses the ways in which Cave 61 captures a critical moment in the development of Mount Wutai as a cultic site: the moment when the pattern of traveling the mountain shifted from wandering and wondering in search for the fleeting visions of the deity to the worship of a particular icon, which was named zhenrong (true visage), and sanctified by legends as the materialized vision of the bodhisattva Manjusri. By highlighting the link between the hitherto-neglected bodhisattva statue in the cave and the centrality of the zhenrong icon at Mount Wutai, I demonstrate that Cave 61 was built as a substitute for the local devotees, effectively reenacting the pilgrimage at the cultic center in its miniaturized and transposed set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