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조단경』에 나타난 돈오(頓悟)와 무념(無念)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no(Sudden Enlightenment)" and "Munyeom(No-thought)" in the Platform Sutr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06
31P 미리보기
『육조단경』에 나타난 돈오(頓悟)와 무념(無念)의 상관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5권 / 429 ~ 459페이지
    · 저자명 : 임병정(명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육조단경』에 나타난 무상(無相)과 무주(無住)의 의미를 통해서 돈오(頓悟)와 무념(無念)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육조단경』에서 드러나는 육조 혜능의 선사상(禪思想)은 『열반경』의 불성사상(佛性思想)과 『금강경』의 반야사상(般若思想)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혜능은 일체중생이 본래 구족하고 있는 반야(般若)의 지혜와 자성(自性)의 청정한 본성을 깨달아 망상(妄想)과 미혹(迷惑)에서 벗어나 지혜인(智慧人)이 되도록 설법하고 있다. 이처럼 지혜와 자성을 단박에 깨닫도록 하는 혜능의 주장은 남종선의 근본적인 깨달음의 입장과 일치한다. 남종의 반야사상(般若思想)은 수증의 실천론으로서 무념(無念), 무상(無相), 무주(無住)의 선법(禪法)에서 정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혜능은 모든 중생에게 동일한 불성이 존재한다는 초기 선종의 흐름을 따르면서 자성(自性)과 자심(自心)의 불성 관점을 구체화 시키고 있다. 『육조단경』은 선사상의 핵심으로 돈오(頓悟)를 제창하면서 수행론인 동시에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할 경지로서 무념(無念), 무상(無相), 무주(無住)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육조단경』에서 돈오의 배경으로 제시된 불성론(佛性論)과 반야론(般若論) 입장에서 무념(無念), 무상(無相), 무주(無住)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o(頓悟)" and "Munyeom(無念)" through the meaning of "Musang(無相)" and “Muju(無住)” in the Platform Sutra(六祖壇經)." In the sutra, the Zen Buddhism of Yukjo Hyesung(六祖 惠能) is based on the Buddha-nature(佛性) thought of the Yeolbankyeong(涅槃經) and the Banya(般若) thought of the Geumganggyeong(金剛經). Hyenung teaches the wisdom that the whole life to become a wise man, free from delusions and misgivings, by realizing the pure nature of self-reflection. As such, Hyenung's argument for realizing wisdom and self-reflection at once is consistent with Nam Jong-sun(南宗禪)'s position of fundamental enlightenment. Namjong's Banya Thought is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and is found to be the culmination of the virtuous practices of Munyeom, Musang, and Muju. Hyenung follows the trend of early Zen Buddhism, in which the same Buddha-nature exists in all humankind, and embodies the Self-nature(自性) and Self-mind(自心). The Platform Sutra is the core of the Zen Buddhism, suggesting the view of Munyeom, Musang, and Muju as a practice and ultimately a place to achieve. In concul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Munyeom, Musang, and Muju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a-nature and Banya theory presented as the background of Dono in the Platform Su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