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遯巖書院의 건립배경과 賜額 검토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Royally Endowed(賜額) Consideration of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遯巖書院의 건립배경과 賜額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5호 / 149 ~ 176페이지
    · 저자명 : 임선빈

    초록

    遯巖書院은 김장생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강당인 養性堂 옆에 세운 서원이다. 그런데 양성당과 돈암서원이 처음 건립된 곳은 현재의 돈암서원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1.7㎞ 떨어진 숲말로, 이곳은 조선초기 세조조의 문사였던 崔淸江의 별업 雅閑亭이 있던 곳이다. 최청강은 1438년(세종 20) 생원시에 장원으로 입격한 후 그해에 바로 실시된 문과에도 급제한 인물로, 김장생의 5대조인 김국광과 친한 사이였다. 아한정에는 당대의 명사들이 자주 드나들었으나, 최청강은 말년이 불운하였고, 그의 후손들은 가세조차 제대로 이어갈 수 없었다. 아한정은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소유권이 광산김씨로 바뀌었다가,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으로 불타 없어졌다. 이를 아쉬워하던 김장생은 1602년(선조 35)에 아한정의 옛터에 양성당을 짓고, 30여년간 이곳에서 강학을 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타계했다. 1634년(인조 12) 김장생의 제자들은 양성당 옆에 스승을 모시는 사우인 沙溪書院을 건립하였다. 이 서원에는 1658년(효종 9) 김장생의 아들 김집이 배향되었으며, 1660년(현종 1)에는 遯巖書院으로 사액을 받았다. 그동안 ‘遯巖’의 명칭은 근처에 있는 ‘돼지바위’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외에도 『주역』 遯卦의 의미와 관련이 깊으며, 주자가 만년에 사용한 ‘遯翁’이라는 호를 가탁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돈암서원의 건물도 김장생이 『의례』와 『주자대전』의 석궁편을 고증하여 설계한 중국 삼대의 가옥제도를 강당 凝道堂으로 재현하였으며, 주자의 晦堂 양쪽 夾室의 뜻을 취한 居敬齋와 精義齋를 갖추고 있었다. 서원의 건물 명칭에 사용된 養性 遯巖 凝道 居敬 精義 등의 개념은 모두 주자의 학문적 실천과 논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 서인계 서원으로 출발한 돈암서원은 17세기말까지 호서 사림 首院으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후에 송준길과 송시열이 추배되고 윤선거는 배제되는 과정에서 점차 노론계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돈암서원은 19세기에 이르자 주변 지형과 사계천의 물줄기가 바뀌면서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자주 입었으며, 1880년(고종 17)에는 상습적인 침수를 피해 숲말에서 범내의 언덕으로 이건되었다. 그러나 웅장한 강당 응도당은 옮기지 못하고 남겨두었다가, 1971년에 이르러서야 현재의 위치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은 쉽지 않은 이건과정 때문에 오늘날의 돈암서원은 당초의 건물배치와는 다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영어초록

    Kim Jang-saeng established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遯巖書院) beside Yangseongdang(養性堂), an auditorium he used to teach his disciples. However, Yangseongdang and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ere originally erected in the forest, about 1.7km west from the current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site. It is where Ahhanjeong(雅閑亭), a cottage owned by Choi Cheong-gang(崔淸江) who was scholar-official(文士)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during early Joseon dynasty, was located. Choi Cheong-gang, a close friend of Kim Jang-saeng’s fifth-great-grandson Kim Kook-gwang, was a person who passed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on(生員試) with the first place and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文科) right after the exam at the same year in 1438(King Sejong 20). Although the nobles of the day were often crowded in Ahhanjeong, Choi Cheong-gang’s last years were so unfortunate that the descendants could not keep their family prosperity. Ahhanjeong was transferred to the Gwangsan Kim Clan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nd it burned down during Japanese Turmoil in the Cyclical Year Chŏng’yu, 1597 (King Seonjo 30). Kim Jang-saeng, who missed the house, built Yangseongdang at the ground of Ahhanjeong in 1602 (King Seonjo 35), and used it to lecture his disciples for about 30 years until he died. In 1634, the students of Kim Jang-saeng erected Sagye private Confucian academy(沙溪書院), a shrine dedicated to their teacher, beside Yangseongdang. Kim Jip, Kim Jang-saeng’s son, was enshrined at this shrine in 1658(King Hyojong 9). Also, the new name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遯巖書院)” was granted by the king in 1660. The origin of “Donam(遯巖)” was commonly known as the nearby “Pig Rock”, but it is also related to the meaning of Donkwae(遯卦) in Zhou’s Book of Changes(周易), which likely came from “Donwong(遯翁)”, the pen name which Zhu Xi used in his old age. Furthermore,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consists of an auditorium Eungdodang(凝道堂), which reproduces the house structure of three generations in China by Kim Jang-saeng’s historical research on Book of Etiquette and Ritual(儀禮) and Seokgung part of The Complete Works of Zhu Xi(朱子大全). It also consists of Keokyeongjae(居敬齋) and Jeongeuijae(精義齋), which depicts both side rooms(夾室) in Zhu Xi’s meeting hall(晦堂). The notions used in this shrine, Yangseong(養性), Donam(遯巖), Eungdo(凝道), Keokyeong(居敬), and Jeong eui(精義), all do not deviate from the scholarly practice and logic of Zhu Xi.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hich initiated as School of the Westerner private Confucian academy, held its status as prime private Confucian academy(首院) of Hoseo scholar-official community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but gradually became Old Doctrine private Confucian academy during enshrinement of Song Joon-gil and Song Si-yeol and exclusion of Yoon Seon-keo. In the 19th century,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as often damaged by flooding as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stream had been changed. Hence, in 1880 (King Gojong 17), it moved to a hillside in the woods to avoid frequent flooding. However, the magnificent auditorium Eungdodang had remained untransferable until 1971, when it could finally be relocated to its present site. Because of this difficult reconstruction process, the building layout of today’s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