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기론으로서의 돈점론 (Spiritual Capacity; Basis of the Theories of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3.10
25P 미리보기
근기론으로서의 돈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7권 / 269 ~ 293페이지
    · 저자명 : 박문기

    초록

    선 수증론의 핵심 요소인 돈점론은 선종의 오랜 역사 속에서 때로는 논쟁의 중심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많은 수행자들에게 큰 길잡이의 역할을 하며 존재해 왔다. 그간 돈점론에 대한 연구가 상당하지만 그 내용은 의외로 특정 부분에 치우쳐 있음이 살펴진다. 예를 들어 悟⋅修 및 돈점 자체의 내용에 대한 것, 돈점 논쟁의 역사와 주요 내용, 그리고 특정 선사의 돈점관에 대한 것 등이다. 반면 돈점론을 보다 근본적 입장에서 고찰하고 논점을 다루려는 글은 그렇게 잘 보이지 않는다.
    본 글은 달마 이후 선종사 최초로 돈점을 다룬 육조혜능의 ‘법에는 돈점이 없고 사람에게 이둔이 있다’는 ‘法無頓漸 人有利鈍’의 구절을 돈점론의 핵심으로 보고 여기에 입각해 돈점론을 재조명하고자 한 글이다.
    육조와 이후의 여러 선사들은 대체적으로 획일적이지 않은 돈점의 가르침을 보이고 있다. 반드시 돈오돈수해야 한다든가 혹은 돈오점수만을 주장하고 있는 선사가 없는 것은 아니나 신회, 마조, 황벽, 위산 등 거의 대부분의 선사들이 양자를 함께 언급하고 있다. 이는 오로지 수행자들의 근기를 살피고 거기에 입각해 가르침을 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러 선사들이 돈오는 상근기가 하는 것이요, 돈오돈수는 상상근기가 할 수 있는 것, 돈오점수는 상근기에 해당되는 것이라 하고, 또 중하근기자는 부지런히 수행하라는 勉修를 설하고 있다. 해당 근기자에 적합한 돈점의 오수가 있다는 내용이다.

    영어초록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the Seon (Zen, Chan) School,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the two core theories of Seonpractice, sometimes stood at the center of controversial debates and atother times functioned as guiding principles for many practitioners.
    Alth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sudden and gradualenlightenment has been done, it has concentrated too much on certainspecific areas. Most of the research has dealt with the following:enlightenment, cultivation, the theories of sudden and gradualenlightenment, the history and essential content of the debates onsudden versus gradual enlightenment and specific Seon masters’ viewson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done to explore in a general way the theories of sudden and gradualenlightenment from a fundamental stance and to resolve the issues ofthe debates.
    The Sixth Patriarch Huineng was the first to deal with the issuesof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since Bodhidharma; he said,“Dharma is not sudden or gradual. Rather it is people who are sharpor dull.” I regard this quote by Huineng as the core issue of the suddenversus gradual controversy and will try to shed light on the sudden vs.
    gradual debate based on this quote. From this perspective, Huinengtaught the Dharma and guided students to internalize it. When teaching,Huineng took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f each student; that is, he taught each student according to their spiritual capacity. Thismethod of teaching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expressions: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supremecapacity,” and the admonition to “practice diligently after listening to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ent.”Many Seon masters after Huineng were not consistent in teaching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Some masters believed exclusivelyin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others in “sudden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Still others taught both.
    Without considering the concept of “student capacity,” I think it isimpossible to explain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as well as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 base this statement on the fact thatvarious Seon masters specifically mentioned certain practices for certaincapacities, saying such things as: “Sudden enlightenment is for the[student of] higher capacity”;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cultivation is for the [student of] supreme capacity”; “Sudden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s for the [student of] highercapacity”; and “The [students of] medium and lower capacity shouldpractice diligently.” Moreover, their emphasis on faith, arousal of theaspiration for enlightenment and right view, attests to the excellenceof a teacher’s means in teaching Seon practice and doctrine in that theyadmonish practitioners not to take a narrow-minded view of inherentcapacity but rather to maximize their own enlightenment andcul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