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사를 보는 방식: 7차 교과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의 독일사 서술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Means on German-history Shown in Korean History Textbook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German-history Description in 「World History Textbook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08
40P 미리보기
한국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사를 보는 방식: 7차 교과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의 독일사 서술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32호 / 109 ~ 148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오늘날 세계는 단순히 국가 간의 상호 교류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어 어떤 민족이나 국가도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하여, 그것을 이해하려는 태도와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필요한 자질로서 부각되었다. 우리는 세계사를 학습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국제 이해와 국제적 감각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세계사 학습을 통하여 한국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역사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대부분 국사 교과서에 국한된 경우가 많아 세계사의 경우 국사에 비해 그 편수가 적은 상황이다.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어서는 역사교과서 이외의 요소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예를 들면 한 국가와 사회가 역사 교육에 얼마나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가치를 두고 있는가의 문제도 나라마다 매우 다를 수 있다. 그것은 전반적으로 한 국가나 사회의 ‘기억문화’의 수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사를 국수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사적 입장에서 균형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 교육이 필요하고, 민족사의 특수성과 보편사적 일반성을 함께 이해하는 역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교육과정에 준한 세계사 교육의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세계사 교육과정은 6차와 7차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에 중국사 및 유럽사 중심의 편중된 역사를 지양할 것을 명시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계사 전체 내용 중 축소된 서양사 분야에서 독일사의 서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과과정 속에서 독일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인다.

    영어초록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Furthermore, learning the world history can lead to being able to more correctly grasp what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Korean history ar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us, the world history is in a situation of being few in its compilations compared to Korean history.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was clearly stated to sublate the history that was conventionally biased to the focus of Chinese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while passing through the 6th and 7th courses. Hen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into which direction the description of German history is changed in a field of Western history, which was curtailed among the whole contents of world history.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likely helpful for grasping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German history amidst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