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한 기계번역 정확도 평가의 언어학적 접근 – 구글번역기와 네이버 파파고를 중심으로 (Ein linguistischer Ansatz zur Evaluation der Genauigkeit Maschineller Übersetzung Deutsch-Koreanisch - Google Translate und Naver Papago im Vergleich)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9
22P 미리보기
독-한 기계번역 정확도 평가의 언어학적 접근 – 구글번역기와 네이버 파파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2권 / 3호 / 119 ~ 140페이지
    · 저자명 : 유수린, 정동규, 국지연

    초록

    본 논문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구글번역기(GT)와 네이버 파파고(Naver)의 독-한 번역의 번역정확도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함으로써, 독-한 기계번역 활용의 시사점과 언어학적 고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어 기사와 일상 대화의 독-한 기계번역물의 어휘정확도(Wortkorrektheit)와 언어학적 정확도 평가(Ling-Eval)를 수행하였다.
    먼저 구글과 네이버 번역문의 어휘정확도는 텍스트 유형에 따라 기사는 구글, 대화는 네이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았고, 언어학적 평가 점수는 대상 문장 전체에서 구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네이버보다 높았다. 언어학적 평가 항목 8개 중 6개 항목(‘시제/화법’, ‘문장 구분’, ‘수식 범위’, ‘공지시’, ‘논리 관계’, ‘정보 구조’)에서 구글과 네이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높았으나, ‘의미 정보성’과 ‘문화 적합성’ 항목에서 구글이 네이버보다 문장 전체, 그리고 기사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네이버는 대화 번역의 ‘문화 적합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번역정확도 평가 결과는 원문의 텍스트 유형과 독일어 수준이 기계번역기의 선택과 활용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최신 신경망기계번역기의 개선된 번역 성능에도 불구하고 ‘의미 정보성’과 ‘문화 적합성’이 아직 가장 취약한 항목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의 구글과 네이버의 신경망 기계번역기를 구현하는 사전학습 언어모델이 양적으로 보다 충분하고 질적으로 보다 정확한 독-한 번역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hat das Ziel, die in Korea bekanntesten Online-Übersetzer Google Translate(GT) und Naver Papago(Naver) in Bezug auf Übersetzungsgenauigkeit Deutsch-Koreanisch zu bewerten und zu vergleichen. Je zehn Artikel und Alltagsgespräche wurden auf Wortkorrektheit und 8 linguistische Kriterien (‘Tempus/Aspekt/Modus’, ‘Satzunterscheidung’, ‘Modifikationsskopus’, ‘Anapher’, ‘Logische Relation, ‘semantische Informativität’, ‘Informationsstruktur, ‘kulturelle Adäquanz’) untersucht, wobei sich Folgendes ergab: Hinsichtlich Wortkorrektheit war GT bei der Textsorte ‘Artikel’ statistisch signifikant besser, bei der Textsorte ‘Alltagsgespräch’ hingegen Naver. In Bezug auf die linguistische Bewertung war die Gesamtpunktzahl bei GT signifikant höher, besonders in den Subkategorien ‘semantische Informativität’ und ‘kulturelle Adäquanz’ war GT insgesamt und vor allem für die Textsorte ‘Artikel’ besser. Die ‘kulturelle Adäquanz’ bei der Übersetzung von Alltagsgesprächen hingegen war bei Naver signifikant besser, wodurch die die gegensätzlichen Eigenschaften einzelner maschineller Übersetzer nach Textsorte und Sprachniveau bestätigt werden konnten.
    Folgende Implikationen lassen sich feststellen: Bei der Wahl eines Online-Übersetzers müssten Textsorte und Deutsch-Niveau berücksichtigt werden. Die trotz der verbesserten Qualität noch bestehenden Defizite in den Bereichen ‘semantische Informativität’ und ‘kulturelle Adäquanz’ könnten durch die Anreicherung qualitativ genauerer Übersetzungsdaten, kontinuierliche Verfeinerung des Wortschatzes und lingistische Folgestudien behoben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