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A Study on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Japan)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1.07
50P 미리보기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0호 / 261 ~ 310페이지
    · 저자명 : 박은경

    초록

    고려 후기 불화는 아미타여래와 관음․지장보살 도상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석가여래 도상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조선 전기 15~16세기에 석가설법도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현재 일본에 10점, 국내 및 구미지역에 7점, 총 17점이 남아 전하고 있다.
    석가는 성도(成道)이후 열반(涅槃)에 이르기 직전까지 수십년간 설법의 행적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석가가 설법주(說法主)로서 묘사된 석가설법도에 관해 보편적으로 기사굴산(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한 영산회상도로 인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석가설법상을 주제로 그린 불화중 기사굴산에 모여든 청중들에게 법화경을 설한 장면을 묘사한 것을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라 일컫되, 영산회상도를 포함해 석가가 설법을 행한 보편적인 연행 장면은 석가설법도(釋迦說法圖)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일본 소재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를 비롯해 국내외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례를 도상구성에 따라 다섯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의미와 봉안장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는 고려 후기 석가의 전통도상을 계승한 요소와, 석가의 신도상인 항마인 수용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는 요소들이 혼재한다는 사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석가 본존상에 보이는 새로운 변화상으로는 항마인과 정상계주, 연판형 광배와 연판장식 대좌 등이다. 그리고 석가의 권속 가운데 비파 지물의 사천왕상과, 보살형의 단독 청문자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새로운 변화상들은 조선 15~16세기에 일괄적으로 보인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보이는 새로운 요소들은 명대 판본을 모본으로 개간된 것으로 알려진 일본 사이라이지[西來寺] 소장 묘법연화경(1459), 다시 이를 모본으로 번각된 1463년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묘법연화경 등과 같은 경판화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왕실주변에서 간행된 이들 판화가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보이는 새로운 변화상들은 석가 이외의 타 도상으로도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대 도상에도 영향을 주어 조선 후기 불화 도상의 한 줄기를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영어초록

    Most of the topics of the Buddhist Painti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while a tiny minority of Sakyamuni Paintings are remained. However,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釋迦說法圖) increases in 15~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re are the ten pieces of the paintings in Japan and the six pieces of the paintings in Korea, Europe, and America, making the total sixteen pieces of the paintings remained so far.
    after attainment of perfection until nirvana, Sakyamuni had preached to many people for 45 years. It is an interesting that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described Sakyamuni as a teaching leader is considered generally as Painting of Yongsanhuesang(靈山會上圖) drawing of Sakayamuni’s studying of the ‘Sutra of the Lotus’(法華經) in Gisagul or Youngchui mountain(祇闍崛山 or 靈鷲山).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at every painting drawing the Sakayamuni’s preaching is the meeting of the preaching Sutra of the Lotus in gisagul mountain.
    In other words, Yongsanhuesangdo is a painting described preaching Sutra of the Lotus to people in Gisagul mountain (Youngchui mountain), and a painting drawing generally a scene of Sakayamuni’s preaching including Yongsanhuesangdo is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The paintings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were classified by the five types based on the compositions of the icons, and according to that classification, the two points were examined: a concept and a enshrinement place. There were the three points discovered that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herits the point of the traditional icon of Sakyamuni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second point is that Hangmain(降魔印), the hand form meaning the submission of the devil, is imported as a new icon of Sakyamuni. The last point is that new elements are consolidated with the Hangmain icon.
    There are some changes in Sakymuni on the painting that Hangmain, a shape of topknot(肉髻), a precious bead on topknot(頂上髻珠), a halo of lotus style(蓮瓣形 光背), and a pedestal of a lotus style expressed up and down symmetry(上下對稱 蓮瓣臺座). Moreover, the Four Devas who has a mandolin and questioner icon are appeared in earnest.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se changes were uprising at that same time in the beginning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new elements on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onfirmed to the Sutra print(經板畵)based on printed books in Ming dynasty: ‘Sutra of the Lotus’(妙法蓮華經)(1459) in Sairai-temple(西來寺), Japan and ‘Sutra of the Lotus’(1463)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buddhist scriptures(刊經都監). In this point, these prints published around a palace affected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changes on the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iffused other icons, and influenced posterity icons. As a result of impacts, the one stem of th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