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A Comparison study between Ten Ox-herding pictures and Ox-herding pictur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4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신명희

    초록

    불교는 수행의 종교로서 경전과 어록은 수행법을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도 경전에서는 코끼리를 통해 수행자의 모범상을 비유한 반면 중국에서는 소[牛]를 통해 수행길을 묘사하였다. 중국은 농경사회인데다 선이 태동하고 발전한 곳이 강서성과 호남성이다. 더욱이 청규 제정으로 노동과 선의 일치가 보편화되어 선사들의 선문답에 자연스럽게 축생들이 등장한다. 특히 소를 주제로 하는 선문답과 공안이 많고, 송대에 이르러 선 수행을 그림으로 묘사한 심우도가 발전하였다. 여러 심우도 가운데 곽암의 ‘십우도’와 보명의 ‘목우도’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곽암의 십우도는 번뇌를 소에 비유하여 번뇌를 조복 받고 길들여,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소도 잊고, 자신도 잊어버리는 과정을 거쳐 해탈열반 경지에 이른 뒤에 보살행을 실천한다. 반면 보명의 목우도는 목동이 소를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지 않고, 눈앞에 있는 소를 길들이는 데서부터 출발해 미혹 속에 있는 눈앞의 현실을 중시한다. 검은 소가 점차 흰 소로 바뀌는, 곧 오염된 성품을 닦아 청정한 지혜를 발하게 하는 점오의 과정을 표현하였다.

    영어초록

    Buddhism is a religion of asceticism therefore its teachings and scripts describe how to perform asceticism. While Indian teachings emphasizes an elephant as the model for a proper ascetic, China emphasizes a cow as the representation for performing asceticism. China is an agricultural country the region Zen sect developed was Jangxi and Huna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pure regulations lead the popularization of the uniformity between Zen and labor resulting in various animals appearing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Sŏn among many Sŏn masters. There are many questions and answers of Sŏn and Gongan with a cow theme, and in the Northern Song period. Ten Ox-herding pictures grew as the paintings depicting Zen asceticism. In particular, Ten Ox-herding pictures by Kuoan represented anguish as cows to practicing Buddhism by reaching the level through the submission of anguish, and returning home on the cows back then forgetting about the ox and forgetting about oneself in order to reach nirvana. On the other hand, Puming's Ox-herding pictures focuses on the reality in front of one’s eyes by starting from the herdsman raising the ox rather than thinking that the ox is lost. The change from a black ox to a white ox represent the process of gradual cultivation which is the act of cleaning one’s corrupted character to obtain clean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