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의 원(原) 병풍 장황(粧䌙)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Mounting of the Folding Screen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store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11
26P 미리보기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lt;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gt;의 원(原) 병풍 장황(粧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5호 / 437 ~ 462페이지
    · 저자명 : 전지연, 강그린

    초록

    본 연구는 8점의 낱폭 상태였던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를 병풍으로 복원한 근거에 대해 담고 있다. 보물로 지정되기 1년 전인 2000년에 보존처리를 진행한 바가 있으나, 당시에는 병풍의 원형을 알 수 없어 손상부만을 처리하고 낱폭으로 보존처리를 완료했다. 하지만 전시 과정에서 낱폭 상태로 전시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해 병풍으로의 장황 복원이 시급했다.
    여러 해에 걸쳐 ‘신․구법천문도’의 또 다른 작례를 조사했고, 총 9건의 ‘신․구법천문도’가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분석 가능한 6건에 대해 채색 재료 성분 및 도상 등의 과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구법천문도>와 동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하는 천문도를 분류해 내었다. 6건 중 시기가 가장 앞선 것은 한국의 국립민속박물관 보물본과 영국의 휘플과학사박물관본이었는데, 그 제작 시기는 18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한다. 반면 일본 국립국회도서관본, 국립중앙박물관본 2건(본관 10968, 덕수 1218), 그리고 또 다른 국립민속박물관본(민속 70195)에서는 19세기 중엽 이후 유럽에서 유입된 합성 무기안료인 양록(洋綠, 에메랄드 그린)과 양청(洋靑, 울트라마린 블루)이 확인되어 앞의 2건과는 시기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구법천문도>는 입수 당시 그림 뒤에 붙어있던 ‘구 병풍 속틀지’로 병풍 1폭의 크기 및 구조를 추산했고, 남아 있던 병풍띠[回粧]와 병풍의(屛風衣)를 과학적으로 성분 분석하여 이를 장황 복원에 적용했다. 동시대 ‘신․구법천문도’ 중에는 하회장[下縇]의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시기적으로는 차이가 있으나 원(原) 장황 형태를 유지하고 있던 국립중앙박물관본(덕수 1218)을 참고하여 쪽염 비단으로 병풍 장황을 설계했다.
    설계된 내용을 바탕으로 2023년에 보존처리 및 장황을 복원해 현재 병풍 복원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 논문은 현재까지 조사한 ‘신․구법천문도’의 과학적 분석을 기반한 결과물로, 천문 관련 민속자료를 연구하거나 추후 유사 ‘신․구법천문도’의 병풍 장황을 복원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basis for restoring the folding screen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a treasure hel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hich consisted of eight individual piece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in 2000, a year before it was designated as a treasure, but since the original shape of the folding screen was unknown at that time, only the damaged parts were treated and conserved separately. However, during the exhibition, issues arose during exhibition due to the display of the panels as individual pieces, making the restoration of the screen mounting a priority.
    Over several years, we researched other examples of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and found a total of nine cases existed. We conducted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coloring material composition and iconography of the six cases, and found a case that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at the same time as the treasures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oldest versions of the six cases are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Treasure)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edition in Whipple Museum of History of Science. The production time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mid-18th century. However, in the edition in The National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of Japan, two edition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Bonguan 10968, Deoksu 1218), and another edition i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Minsok 70195), emerald green and ultramarine blue introduced from Europe after the mid-19th century were detected in the painting, showing a temporal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two cases.
    The size and structure of original folding screen were estimated through the folding screen’s inner frame pape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original edition of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addition, in terms of materials, the materials of the folding bordering(回粧) and folding screen robe(屛風衣) were identified through scientific composition analysis and applied to the restoration.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obtain contemporary information, the restoration of trimmings in the bottom(下繪粧) was designed using indigo dye silk by referring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dition(Deoksu 1218), which maintained its original mounting form despite the differences in time.
    Based on the design,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the folding screen were carried out in 2023. This study identified the time and materials of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We hope that this will be helpful in researching relics related to astronomy in the future or restoring folding screens of the astronomical chart showing both the traditional Joseon and western styles of similar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