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 지역 민화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the Folk Paintings in Gangwon Provi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8.06
30P 미리보기
강원도 지역 민화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9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윤열수

    초록

    18세기 이후, 정치적인 안정과 경제 성장에 힘입어 일반 중인층에서도 지배 계층의 문인 취향을 본뜨
    는 풍조가 팽배하여 서화의 수요·공급이 확대되고,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민중문화의 전성기를 맞
    이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민중의 예술적인 감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준 예술양식이 바로
    민화이다.
    필자는 20여 년 동안 책가도, 어해도, 화조도, 산수도 등의 민화를 수집하고 조사해왔고, 그 과정에서
    작가와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 문자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수집·정리된 자료 가운데, 조선시대 말기
    에서 일제시기에 이르기까지 강원도 지역의 효제문자도에서 명문이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어서 작가와
    작품의 계보를 밝히는 작업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강원도 지역 민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사람은 소남 이희수이다. 평안도 중화군 상원에 살면서
    눌인 조광진에게 글씨를 배웠다. 민화에 가까운 이희수의 그림은 연호 이규황, 석강 황승규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 맥은 이종하에게까지 이어지게 된다. 그동안 학문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민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전국에 산재해있는 다른 지역 민화의 특성과 유형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강원도 지역의 문자도는 기본적으로 그 지역의 문화적 바탕 위에 효를 중시한 전형적인 문자도를 받
    아들이는 형식적 특성으로 인해 대개 화면이 2단이나 3단을 이루고 있다. 화면의 중심을 효제문자에 둔
    다면, 나머지 화면은 대개 화제나 산수도, 화조도, 책가도 등이 상단 혹은 하단을 차지하는 형식이다. 즉
    양식적으로〈화제+문자형〉, 〈화제+문자+산수형〉, 〈화제+문자+화조형〉, 〈화제+문자+책거리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특히 각 화목을 단독으로 그린 작품도 다수 남아 있어서 한 작가가 모든 화목
    에서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강원도 민화 작가들은 본인이 그림을 직접 그리고 병풍 제작까지 하면서 화제나 병풍 뒷면의 글씨까
    지 변화를 주어 뒷면은 제례용으로 앞면은 잔치용으로 용도에 따라 혼용하였다.
    또한 자획 속에 글자의 상징물이나 길상문을 상감기법 식으로 그려 넣는 치밀함도 보인다. 글자 획 속
    에 상감기법처럼 그려 넣는 양식은 중국의 수복길상문양에서 많이 나타나며 경기 이북 쪽인 북한지역 문
    자도 속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강원도 민화는 화려한 채색이 특징인데 사찰 단청 채색으로 사용되는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므로
    힘차고 온후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강원문자도의 핵심작가였던 황승규 등 민화작가들이 지
    역 사찰 단청 제작에 참여하였던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 그 지역에서만 유통이
    강원도 지역 민화에 대한 고찰 / 윤열수 31
    가능한 안료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화의 지역유형은 문화권의 구획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분명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통
    해 작가들의 이동 범위가 아무리 넓었다 해도 다른 문화권을 넘는 수준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가
    능하다. 앞으로 세부적인 논거를 더욱 치밀하게 보강한다면 전국의 각 지역별 작가의 계보와 작품의 창
    작 편년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강원도 지역 작가들의 존재와 그들 작품의 특징만을 언급했지만,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학계
    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민화의 작가들을 학술적 연구 대상으로 부각시키고,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에
    서 제외되었던 민화의 작가와 그 특성, 지역과 양식에 대한 고찰 등 민화 연구를 심화시킬 수 있는 단초
    를 열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style of the literary artists from the ruling class. Based on the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at
    that time, the supply and demand for paintings and writings expanded. This movement led to the
    peak of the popular culture in the 19th Century. Under such atmosphere, a kind of art that reflected
    the artistic sensibility of the common people emerged and became popularly known as Minhwa, the
    folk painting.
    For about 20 years, I have collected and examined various kinds of Minwha, including the paintings
    of fish and crab(魚蟹圖), flowers and birds(花鳥圖), landscape(山水圖), and many others. During
    those years, I became interested in Moonjado, the paintings with letters that embedded the name of
    the artist and the period it was created. Among the collected and organized data, the excellent
    compositions from the end of Chosu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ere found
    mostly in the Hey-jae Moonjado of Gangwon Province, Thus, it has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to determine the genealogy of artists and their artworks.
    The artist who influenced the Minhwa of Gangwon Province directly or indirectly is Sonam Lee,
    Hee-soo(少南李喜秀: 1836~1909). He lived in Sangwon, Junghwa-gun, Pyeongan Province where he
    learned writing from Nulin Cho, Gwang-jin(訥人曹匡振: 1772~1840). The paintings of Lee, Hee-soo
    which were closer to Minhwa, influenced Yeonho Lee, Gyu-hwang(蓮湖李圭璜: 1868~1926) and
    Seokgang Hwang, Seung-gyu(石岡黃昇奎: 1886~1962), and this lineage reached to Lee, Jong-ha(李
    鐘夏: 1896~1968).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newly recognize and revive interest in Minhwa, the
    academically mistreated area of painting and discover/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Minhwa originating from other regions in Korea.
    The Moonjado in Gangwon Province allowed the form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traditional
    Moonjado that basically emphasized filial piety on the cultural base of the region. The screen is
    formed with two or three levels. While placing Hyojae letters, the ones related to filial piety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his art formation displayed flowers, mountains and water, flowers and birds, or
    books and houses on either upper or lower part of the screen. More simply,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style with flowers + letters〉,〈 the style with flowers + letters+landscape〉,〈 the style with flowers
    + letters + flowers + birds〉, or 〈the style with flowers + letters + books + street〉. Moreover, there
    were several artworks having a theme of flowers and trees only, therefore, a painter seemed to be
    talented in every painting style of flowers and trees.
    The artists of the Minhwa in Gangwon Province modified their paintings and produced a screen
    while changing the letters on the back of the painting. Thus, the back side was used for religious ceremonies and the front side was used for a banquet. Also, some elaborate techniques drew a
    symbol or patterns that wished good luck by the stroke of each letter with inlaid work. This inlaid
    work, like the writing technique, was often shown on the patterns that wished long life, happiness,
    luck, and auspiciousness in China. It can also be seen in the letters in the northern region of Kyunggi
    Province and North Korea.
    The splendid and dynamic color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Minhwa in Gangwon Province.
    Because the paintings showed intense colors that were painted for Danchung,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in a temple, the paintings gave a powerful but gentle impression. The origin of such
    method can be traced back to some Minhwa painters like Hwang, Seung-gyu, who was one of the
    core artists of Gangwon Moonjado. H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Danchung in local temples.
    Furthermore, the accessibility of pa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the colors used in the
    Minhwa in Gangwon Provin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Minhwa showed a distinctive fea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divide
    each cultural area. Based on such fact,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remise that no matter how far
    the works of Minhwa artists expanded or spread, they seemed not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other cultural areas. By reinforcing detailed information to prove the premise raised above, the
    genealogy and year of creation of the artworks of the Minhwa artists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can
    be organized accurately.
    Until now, only the existence and artworks of Minhwa artists in Gangwon Province are mentioned.
    However, based on the preceding, this study has raised two essential facts: 1) emphasis on the
    Minhwa artists who are not mentioned in the academic circle as an important subject and therefore,
    opening the possibility of in-depth research on Minhwa through the study of the artists and their
    artworks and 2) the detailed styl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nhw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