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 -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an Appreciator for Aspects of Balance of Image on the Screen - Focused on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06
12P 미리보기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 -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권 / 2호 / 145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종무, 김성훈

    초록

    영상, 디자인 그리고 사진에서 이미지의 화면 위치 선정은 중요하다. 유사한 이미지라도 화면의 위치에 따라 감상자가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는 다르며 이는 Rudolf Arnheim의 Art and Visual Perception과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의 밸런스 성질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면에서 이미지의 위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 변화”의 후속 연구로써,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Aspects of Balance)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이론을 적용하여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한 실험 하였다. 이를 위해 Rudolf Arnheim의 Art and Visual Perception과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에 서술한 5종류의 밸런스의 성질을 참조 수정하여 2개의 주 가설과 각 7개의 보조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개의 이미지를 제작 한 후 실험자가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 변화를 50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에 앞서 연구자는 10대부터 50대 각 10명씩 그리고 남성 5명과 여성 5명을 임의로 선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로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무게감에 대한 성별 선호도는 남․여 모두 ‘무겁다’의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무게감에 대한 연령 선호도는 모든 연령에서 ‘무겁다’의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중요도에 대한 성별 선호도는 남․여 모두 ‘중요한’의 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중요도에 대한 연령 선호도는 모든 연령에서 ‘중요한’의 선호도를 보였다. 다섯째, 모든 연령과 성별에서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선호를 보였으나, 일정한 형태나 양식 또는 유형을 보이지는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유사한 이미지라도 화면의 위치에 따라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연령, 성별의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상, 사진에서 화면 위치와 연관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The position in the composition of a screen is important in images, design and photographs.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sense of weight and status comes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reen even in case of the similar image and the Rudolf Arnheim‘s "Art and Visual Perception" and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 were mentioned in the aspects of balanc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s a follow-up one on "Change in User's Sensibility Subsequent to the Change of Image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is research did an experiment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entering on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applying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to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Aspects of Balance of an image on the scree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t up the two main hypotheses and their 7 subsidiary hypotheses respectively by referring to the 5 sorts of aspects of balance which were mentioned in Rudolf Arnheim‘s "Art and Visual Perception" and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 based on which this research made 5 images and did experiment on the change of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using 50 experimental objects. Prior to doing the experiment, this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10 people from their 10s to 50s respectively, and 5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oo. On the basis of this,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sex distinction and ag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sex distinction, there appeared a unanimous preference for "being weighty." Second, as for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felt through the 5 imaged on the screen by age, there appeared a preference for "being weighty" from all ages. Third,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tatus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sex distinction,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the preference for "being important." Fourth,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tatus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age, all ages showed the preference for 'being important.' Fifth, there appeared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all ages and sex distinction, but they hardly ever showed a certain form, mode or pattern.
    Thi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fact that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sense of weight and status comes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reen even in case of the similar image. On the basis of this fact, this research hopes this research could be basic data in understanding and grasping the aspects of balance of an image in connection with the screen location in videos and photograph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