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서지방 나물과 약초의 생태민속학적 연구 -창선도 고사리 재배사례를 중심으로- (Ecological Folklore of Namul(Wild Greens) and Yakcho(Medical Herbs) -A Case of a Bracken(Gosari Plant) in Changsun Island-)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12
47P 미리보기
도서지방 나물과 약초의 생태민속학적 연구 -창선도 고사리 재배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4호 / 201 ~ 247페이지
    · 저자명 : 박경용

    초록

    이 글은 국내 산출량의 절반을 생산하는 ‘고사리섬’ 주민들이 고사리를 매개로 환경과 관계 맺어온 양상에 대한 생태민속학적 연구이다. 고사리 시배지인 고두와 인근의 언포, 식포 등 고사리마을은 바다 어업에서 뭍의 고사리농업으로 생계방식의 전환을 완성하였다. 이는 바다오염과 어류남획, 해수온난화로 인한 어족자원 감소라는 자연환경 변화뿐만 어촌의 과소화와 고령화로 인한 어업노동의 지속 불가능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다. 1970년대에 이루어진 한 혁신가의 고사리 재배기술 개발이라는 성공적인 ‘내부 혁신’은 가장 큰 동인 중의 하나이다.
    고사리농사로 생계방식과 기술이 변화되고 ‘빈촌’에서 ‘부촌’으로 변신한 지금 고사리마을은 마을문화의 지속과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다. 전통농업과 어업의 협동관행이 개별노동으로 전환됨으로 인한 마을 구성원의 개인주의화로 인간관계가 기계적이 되고 내적 단합이 어려워졌다. 중단 후 재개되어 지금까지 지속되는 마을 동제는 이를 완화시키는 문화적 기제가 되고 있다.
    과잉개발의 자연훼손 담론은 고사리마을의 미개발토지 뿐만 아니라 도서 전체의 수많은 잠재 개발토지의 농장화 가능성을 어렵게 만든다. 이에 대해 고사리마을 주민들은 외부인과는 상이한 생태인식을 갖는다. 관계 당국에서는 귀농자의 유인을 통한 농어촌의 과소화를 완화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소득작물 개발의 성공적 모델 도출을 위해 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고사리생태관광마을 조성은 과잉개발 논란을 극복하고 자연 개발과 보존의 동시적인 충족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ecological contexts of Namul(wild greens) and Yakcho(medical herbs), focused on a case of a bracken(Gosari plant) in Changsun island(昌善島), Gyeongnam province. 'Changsun Gosari' has been growing in all island after innovation of micro technology, discovering of natural knowledge about Gosari ecology in the mid of 1970s. Now, at Gosari villages - Godu, Unpo, and Sixpo -, transformation of subsistence pattern from sea(fishing) to land(Gosari growing) was completed. Following three factors was important to transform of this : First, marine resources was decreased largely by reason of sea pollution, overfishing, warming of sea water etcs.. Second, Fishers was unable to work in fishing continually by becoming more aged. Third, There was an innovation and a steady acception of growing technology of Gosari. Transformation of subsistence pattern and the increase of wealth caused good and bad consequences in many aspects of village culture. Especially, the critical discourses of 'over development' or 'forest destruction' of the outsider made unable to exploit or enlarge Gosari farmland. But Gosari villagers have different ecological views in contrast to the outsider. Gosari Farming is ecological niche of appropriate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returning to farm and communication with outer world, self-reliance of the old farmers.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Gosari ecological tourist Village is one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 as to satisfy two, exploitation and conversation.

    Key-Words : ecological folk customs, ecological folklore, Namul(wild greens), Yakcho(medical herbs), Changsun Island, a bracken(Gosari plant), Gosari innovation, Gosari village, micro technology, appropriate technology, ecological niche, ecological tourist Vil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