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중국의 노인 병실 색채 선호도 비교 연구 - 환자, 간호사의 선호도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Preference for Bedrooms in Geriatric Hospitals of Korea and China – Focused on the Preference Comparison of the Hospitalized aged and Nurse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9.02
12P 미리보기
한국과 중국의 노인 병실 색채 선호도 비교 연구 - 환자, 간호사의 선호도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1호 / 207 ~ 218페이지
    · 저자명 : 고가로, 김인성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하게 발전하는 한국의 노인 의료서비스는 이제 국제적 교류와 산업의 측면에서까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증가일로의 중국과의 의료 서비스 교류는 한국인과 중국인들 간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민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실색채 선호도 연구에 있어 한중간의 차이점 조사와 분석에 집중하였다. 한편 병실 안에서 주로 거주하는 노인 환자와 여기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여러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갖는다. 주요 두 사용자를 고려한 색채계획으로 환자의 치유환경과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색채 선호의 비교분석 또한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 선호도 및 색채 형용사 이미지를 이용한 질문지를 작성하여 한국과 중국의 노인 병실에서 노인 환자와 간호사, 그룹별 50명씩 총 200부의 설문을 진행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 구성을 위해 IRI의 색상&색조(Hue&Tone) 120색 체계 및 색채 이미지 형용사 도구를 활용하였고, 문항 구성은 일반 색채 선호, 병실 색채 만족도, 병실 공간요소별 색채이미지 선호도 등으로 만들어졌다. (결과)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 색채 선호도 조사의 1순위는 한국과 중국 모두 환자의 경우 선명한-빨강, 간호사의 경우 밝은-노랑으로 나타났다. 2, 3순위는 국가별, 사용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중국 환자와 한국 간호사가 모두 2순위로 선명한-초록을 선택한 것이 특징적이었고, 대부분의 그룹이 선명한-자주를 2,3순위로 선택한 점도 눈여겨 볼만한 결과였다. 둘째, 병실 색채 만족도의 분석 결과, 한국 환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한국 간호사의 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나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중국의 경우 오히려 간호사의 만족도가 환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색채 형용사 이미지 선호도 분석은 병실의 공간 요소별 선호도 조사로 진행되었다. 전반적으로‘가벼운’,‘순수한’,‘자연적인’,‘클래식한’,‘정돈된’,‘즐거운’색채조합이‘무거운’,‘중후한’,‘매력적인’,‘개성적인’,‘자유로운’,‘지적인’색채조합의 이미지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 색채의 경우 환자, 간호사간 선호 차이가 두르러졌으며, 직물 색채에서 국가별 선호 경향이 가장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특징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병실의 색채 선호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환자, 간호사에 대해 그룹별 비교 분석을 진행한 점, 색상과 색조를 구분하여 선호경향을 파악한 점, 그리고 다섯 가지 공간 요소별 색채 형용사 이미지 선호를 조사한 점이 타 연구와의 차별화와 세밀화를 위한 특징이었다. 앞으로 다양한 선호 배색계획에 대한 기본적인 노인의 선호 태도 규명 뿐 아니라, 보다 세밀한 요소별 사용자별 선호를 반영하고, 더 나아가 국가별 차이 또한 규명함으로써 고령화,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양한 색채대안 개발에 연계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Elderly medical services in Korea are rapidly growing in terms of not only industrial aspects but also international exchange. The increase of medical service exchanges with China, especially, demands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color preference of hospital rooms. Additionally, it must be considered that elderly patients living in the ward and the nurses working there also hav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In order to simultaneously improve patient healing environments and nurse working environments, this study has compared the color preference of patients and nurses. (Method) This study created questionnaires asking respondents to indicate their general color preference, color satisfaction, and color adjective images for space elements of hospital room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RI’s Hue & Tone 120 color system and color image adjective tools. In the end, the study collecte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of 50 elderly patients and 50 nurses each from Korea and China,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tients selected Bright-red while nurses chose Bright-yellow as their first preference in both Korea and China. Second and third choices we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and user. Interestingly, both Chinese patients and Korean nurses chose a Clear-Green as their second preference. Second, the satisfaction of Korean patients was the highest, while that of Korean nurses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China, nurs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Third, in the preference analysis of color adjective images, the combination of 'light,' 'pure,' 'natural,' 'classical,' 'orderly,' and 'joyful' was generally preferred to 'heavy,' ‘profound,’ 'attractive, ‘free,’ and ‘intellectual’ color combinations. In the case of floor color, the preference between patients and nurses were far different, and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countries was greatest in color of fabric.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atisfaction levels and preferences for hospital bedroom colors differ considerably according to correspondent nationality and role in the hospital. Specific aspects of the space also made differences in color choices. Considering our aging and globalizing world, alternative color sets of interior design for geriatric hospitals might be continuously demanded in light of investigations into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color preferences by segmenting various space elements and user groups, identities, and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