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가 반지성주의 정치사상에 대한 재고찰 - 유가・도가 논쟁점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Anti-Intellectual’s Political Thought of Taoism -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08
25P 미리보기
도가 반지성주의 정치사상에 대한 재고찰 - 유가・도가 논쟁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60호 / 91 ~ 115페이지
    · 저자명 : 장현근

    초록

    반지성주의는 지성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으나 자신이 아는 것만을 옳다고 여기며, 그에 반하는 지적 토론을 반사회적인 것으로 취급하여 권력으로 억압하려는 생각이나 태도를 말한다. 유가가 지적 탐구를 통해 덕성을 함양하고 유위(有爲)의 공동선을 창출하려는 지성주의라면, 도가는 인위적 매개를 끊고 무위(無爲)를 통해 신명(神明)의 도에 직접 다다르려는 다른 의미의 지성주의였다. 노자의 기지(棄智)는 지성 자체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교지(巧智)에 대한 반대이며, 내면의 밝음[明]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장자의 공자비판은 인위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인간 내면에 실재하는 자연성인 진지(眞知)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황노(黃老)는 유가의 인의예법이란 외재적 매개를 거부하고, 내재하는 신명을 정신적 주체로 삼아 직접 도(道=천=자연)에 이르고자 하였다. 이렇게 볼 때 노장과 황노 모두 반지성주의가 아니다. 유가와 도가 논쟁의 핵심은 지식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무엇이 진정한 지식인가에 대한 것이다.

    영어초록

    Anti-intellectualism does not deny intelligence itself, refers to an idea or attitude of believing that only one’s own claims are correct, treating intellectual discussions that contradict them as anti-social, and trying to suppress them with power. If Confucianism aimed to cultivate virtues and create the common good of artificial effort (有爲) through intellectual inquiry, then Taoism was another form of intellectualism that sought to directly attain the Tao(道) of spiritual brightness (神明) by cutting off artificial intermediaries and practicing artificial effortless (無爲). The abandoning artificial knowledge(棄智) in the Laozi (老子) is not a rejection of intellect itself, but a rejection of clever knowledge, and a process of finding the inner brightness (明). Zhuangzi (莊子)’s criticism of Confucius was a call to return to the true knowledge (眞知) that inherently exists within human nature, without going through artificial processing. The Huanglao(黃老) school rejected the external intermediaries of Confucian benevolence, rightness, courtesy, and rules (仁義禮法), instead taking the internal spiritual brightness as the spiritual subject to directly reach the Tao (=Heaven=Nature). Seen this way, neither the Laozhuang (老莊) nor Huanglao were anti-intellectualism. The core of the debate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was not about knowledge itself, but about what constitutes true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