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궐도(東闕圖)의 모티브를 차용한 작품 연구-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Donggwoldo -Based on the Work of the Researche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08
32P 미리보기
동궐도(東闕圖)의 모티브를 차용한 작품 연구-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29권 / 29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이미연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계화의 가장 우수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꼽을 수 있는 <동궐도>의 건축표현이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어떻게 현대적으로 수용, 재해석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계화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이후, 한국에도 전래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룬 바 있다. 특히 궁중회화를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계화는 괄목할 만한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19세기에 제작된 <동궐도>는 이러한 조선시대 계화 전통의 모든 요소들이 집약된 결과물로서 중국과 일본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완성도와 규모를 보여준다. 연구자의 경우 <동궐도>의 조형성에 주목하고, 현재까지 이를 재해석하는 작업을 진행해온 바 있다. 본 논문은 계화를 대표하는 <동궐도>를 통해 그 표현방식을 검토하고 이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동궐도는 20세기 이전 동아시아의 미술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사실주의적 태도와 기법의 완성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창덕궁과 창경궁이라는 중요한 궁궐을 기록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궁중회화였기 때문이다. 동궐도의 세밀한 선묘, 차분하고 균일한 채색, 조화로운 구성 등은 바로 그러한 면모를 잘 반영하고 있다. 동아시아 특유의 투시법인 평행사선투시도법을 이용해 그려진 점은 중요한 조형적 특징이다. 이러한 면모는 연구자가 <동궐도>를 작품의 중요한 바탕으로 삼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연구자의 채색 작업인 ‘미미의 집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시리즈와 금은박 작업인 ‘메멘토’는 바로 이러한 동궐도의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수용하려했던 결과물이었다. 이는 수묵채색화에 있어서 전통성만을 추구하거나 혹은 현대성만을 추구하는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기 위한 연구자 나름의 해법이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전통시대 회화, 특히 동궐도를 비롯한 계화가 특유의 조형성을 지니고 있고 현대미술의 유효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이 전통 미술의 가치를 재인식하는 하나의 작은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how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Donggwoldo, which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East Asian painting, can be modernly accepted and reinterpreted through the work of the researcher. Gyehwa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since it began in ancient China and has achieved its own development. In particular, Gyehwa in the Joseon Dynasty, centered on royal painting, shows a remarkable high level of completion. Donggwoldo,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is the result of a concentration of all elements of this Joseon Dynasty's Gyehwa tradition, showing a high level of completion and scale that cannot be found even in China and Japan. In the case of researchers, they have paid attention to the formability of Donggwoldo, and have been working on reinterpreting it until now. This paper focuses on reviewing the expression method through Donggwoldo, which represents Gyehwa, and analyzing how it can be reinterpreted modernly.
    Donggwoldo is a painting that shows the completion of realist attitudes and techniques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art before the 20th century. This is because it was a court painting produced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the important palaces of Changdeokgung Palace and Changgyeonggung Palace. The detailed line drawings of Donggwoldo, calm and uniform coloring, and harmonious composition reflect that aspect well. The point drawn using the parallel diagonal projection method, a unique perspective method in East Asia, is an important formative feature. This aspec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researchers to use Donggwoldo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ir work. The researcher's coloring work, 'Welcome to the House of Mimi', and the gold and silver foil work, 'Memento', were the result of modern acceptance of this formality of Donggwoldo. This was the researcher's own solution to overcome the dichotomous distinction of pursuing only tradition or modernity in ink-and-wash painting.
    Through the above consideration,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paintings, especially Gyehwa, including Donggwoldo, have unique formative properties and can serve as an effective basis for contemporary art.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small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