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黃易의 訪碑圖 연구: ≪岱麓訪碑圖冊≫을 중심으로 (A Study of Huang Yi’s Album on Ancients Monuments: Focusing on the Album Visit to the Stone Stele on Mount Ta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5.12
33P 미리보기
18세기 黃易의 訪碑圖 연구: ≪岱麓訪碑圖冊≫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8권 / 288호 / 215 ~ 247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현

    초록

    전각가, 서예가로 알려진 黃易(1744-1802)는 활발한 訪碑활동을 통해 武梁祠石室, 三公山碑, 熹平石經殘片 등을 발굴한 저명한 금석학자이기도 하였다. 황이는 자신의 방비활동의 여정을 일기를 통해 문자로 기록하였고, 訪碑圖 제작을 통해 회화작품으로 재현하였다.
    산동지방을 중심으로 관직생활을 했던 황이는 1797년 정월과 2월 총 29일간 태산을 중심으로제녕, 제남, 태안 지방을 답사하고 그 여정을 「岱巖訪古日記」로 기록하고 24폭의 ≪岱麓訪碑圖冊≫ 으로 시각화하였다. 방비여정 가운데 山東學政을 지내던 孫星衍이 중간에 합류하기도 하였으며, 화책이 완성된 후에는 이를 북경으로 보내 翁方綱, 趙懷玉 등의 발문을 받음으로써 ≪岱麓訪碑圖冊≫ 을 황이 개인의 방비의 기록이자, 당대 저명 금석학자들간의 교류의 기록이 되었다. 황이의 금석학에의 몰두는 회화에 있어서 ‘금석 기운이 농후한 필법’으로 표출되었는데, 이는 ≪岱麓訪碑圖冊≫의<첨산>에 보이는 갈필의 비백을 사용한 서예적 필법으로 드러난다. 또한 황이가 즐겨 사용한 구도는 <대정>이 예시해 주는 바와 같이 지방지 삽도나 목판화에서 사용되던 정형화되고 도해적인 화면구성과는 구별되는, 사적인 경험과 시각이 묻어나는 구도였다.
    ≪岱麓訪碑圖冊≫의 가장 큰 특징은 황이가 매 폭마다 남긴 발문의 효용이다. 여행에서 돌아온 황이는 5개월 여 동안 수습한 탁본을 고증하고 해독한 후, 장소를 찾기까지의 여정, 유물의 위치와 상태, 명문의 고증과 해독, 유물의 사후 처리에 이르기까지 방비활동 전모를 「岱巖訪古日記」 보다 상세하게 화책의 발문을 통해 기록하였다. 이 같은 발문의 역할을 <石經峪>, <龍洞>등에서 볼수 있다.
    이 같은 황이의 발문은 산수화 발문으로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독특한 예로, 일종의 사료이자 금석학적 기록물이며, 동시에 그림으로는 시각화할 수 없는 방비활동의 시간적 추이와 공간적이동을 문자로서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같이 금석학적 발문과 이미지가 결합된 황이의 방비도를 중국의 미술사학자 單國强(1942-)은 ‘실경산수의 신양식’이라 칭한 바 있다. ≪岱麓訪碑圖冊 ≫은 ‘倪黃’의 화풍을 토대로한 정통주의 화풍에 ‘사실’을 추구하였던 금석학자로서의 황이의 관점이 결합되어, 현장감이 살아 있으면서도 시적 정취를 잃지 않은 문인실경산수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영어초록

    This is an essay about an album made by a Chinese literati painter, Huang Yi (1744- 1801), to commemorate his visit to ancient monuments of the Mount Tai in Shandong Province. Huang Yi belongs to a group of Zhejiang 浙江 artists whose devotion to painting ran parallel to their devotion to seal-carving. The son of Huang Shugu 黃樹穀, a skilled calligrapher who harbored an interest in hydraulic engineering, Huang Yi was put in charge as subprefect 同知, of the operation of the Grand Canal in Jining 濟寧, Shandong. An avid epigrapher and amateur archaeologist, Huang Yi took advantage of his appointments and began his wide-ranging travels to visit and discover ancient steles, including the carved stones unearthed at Wuliang Shrines 武梁祠, and to collect rubbings of their inscriptions.
    During his ascent of the sacred Mountain Tai from seventh January to fifth February in 1797 Huang Yi wrote a dairy entitled Visit to the Relics on Mt. Tai (岱巖訪古日記 daiyan fanggu riji) and five month later produced an album with twenty-four leaves entitled Visit to the Stone Stele on Mt. Tai (岱麓訪碑圖冊 dailu fangbei tuce) illustrating the twenty four places he has visited in 1797. The diary details where Huang visited, what he examined, purchased, and with whom he worked, consulted and traveled. It became the source for his postscripts to the album leaves.
    Huang depicted twenty four scenes in which the historical stone stele or stone engravings are located such as Dragon-Grotto 龍洞 or Ridge of the Engraved Stone Sutra 石經峪. The location he represented are all religious and confucian sites including Shrine for Confucius 孔子廟 and Shrine for Mencius 孟子廟 or Buddhist Tempel of Miraculous Rocks 靈巖寺. Unlike the diary, the pictures are scene-oriented and either condense explorations of different days into one scene or divide a single days adventure in to two or three scenes. The way he chosen to represent these monuments – using ink on paper with the calligraphic brush strokes known as Ni-Huang Style - is familiar in the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
    Huang Yi might have kept his diary to himself, but he showed his painting to his friends.
    After finishing the album he immediately sent it to Weng Fanggang 翁方綱 in Beijing, a learned scholar with great enthusiasm for ancients texts. Huang Yi showed the album also to Sun Xingyan 孫星衍, Sun inscribed the title of the album with huge seal script and left a short inscription on the album.
    Each leaf of the album contains postscript of Huang Yi in whic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pot and the archaeological meanings of the stele are detailed described.
    Chinese art historian Shang Guoqiang 單國强 called this composite of image and text, pictures and their corresponding postscripts which contain both visual and textual evidence of journey as ‘a new style of the chinese real landscape 實景山水新樣式’.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