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한궁도 연구 (A Study on Paintings of Han Palace in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9
37P 미리보기
조선 후기 한궁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9권 / 299호 / 199 ~ 235페이지
    · 저자명 : 윤민용

    초록

    漢宮圖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궁중장식화 화제의 하나로, 중국풍의 상상의 궁궐을 그린 건축그림이 다. 현재 상당한 수량이 남아있는데,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도상과 화풍이 유형화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궁중고사에 바탕한, 감계적 성격의 궁궐도가 명청대까지 지속해서 그려졌지만, 조선 중 기만 하더라도 중국의 궁궐도는 크게 인기 있는 주제가 아니었으며, 조선의 궁궐을 재현한 건축그림도 발달 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건축그림이 새로운 회화 장르로 부상하는데, 한궁도 역시 이러한 흐름 과 무관하지 않다.
    한궁도에 묘사된 궁궐은 동아시아의 신선 사상에 뿌리를 둔 이상경을 묘사한 것이다. 한궁은 역사적 으로는 왕의 모후가 노년의 즐거움을 누리는 공간이며, 도교신화에서 궁궐은 신선이 거처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중국에서는 화려한 궁궐누각도가 축수용 선물로 그려지기도 했다. 조선 후기 의 궁궐누각 이미지 역시 동일한 상징적 성격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궁궐누각 도상은 곽분양행락도, 백자도, 요지연도 등의 궁중장식화에서도 배경으로 묘사되어 태평과 복락의 공간을 상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전하는 한궁도를 누각산수도 유형과 궁궐누각도 유형의 2가지로 분류하였다. 전통 적인 궁중의 청록산수화풍이 구사된 누각산수도 유형은 곽분양행락도의 공간표현과 江南山水가 결합된 양상을 보인다. 이 유형은 19세기에 유행한 화제인 江南春을 묘사했을 가능성이 크다. 궁궐누각도 유형의 한궁도는 일부 작품에서 구도의 차이는 있으나 명암법, 단축법, 선원근법, 하이라이트 효과 등 서양화법이 고루 사용되었다. 서양화법의 구사와 건축물 위주의 도상은 중국의 쑤저우 판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2좌 1쌍의 병풍 형식과 배경을 채색하는 방식은 일본회화와 연관이 있어 보인다. 또 한궁도에 묘사된 중국 풍 건축물은 19세기 건축물에서 실제로 확인되어, 이 시기에 조선에 불어 닥친 중화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즉, 한궁도에는 중국을 통해 받아들인 서양화법과 일본화풍, 그리고 중국풍의 건축물이 결합되어 혼종적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한궁도는 19세기 조선의 궁중회화를 연구하는 데 동아시아 적 시각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드러낸다.

    영어초록

    Paintings of Han Palace are a subordinating theme of the court decorativ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In those paintings, not a real palace of the ancient Han dynasty in China but imaginary palaces of China were depicted. At present, a considerable number of folding screens of Han Palace remai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style and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its historical background within the trans-East Asian perspective.
    In China, paintings of palaces, based on historical court stories, had been produced for the didactic purpose until Ming (1368~1644) and Qing (1644~1912) periods. However, neither paintings depicting the Chinese historical palaces nor Joseon palaces were develop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Only brief floor plans of palaces o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were produced. Architectural paintings emerged as a new painting theme in the late Joseon period. Simultaneously, depiction of the imaginary Chinese palaces appeared and increased in the court decorative painting.
    The palace depicted in paintings of Han Palace reflects an East Asian concept of utopia based on thoughts of the immortality. In the context of Taoism, a palace or a pavilion is the place where the immortals live. Historically, a palace means the symbolic space where an empress dowager enjoyed the delight and comfort in her old age in Han dynasty. Because of these double meanings, images of a grand palace or a splendid pavilion were depicted in a painting as a gift for celebrating birthday in China. It is assumed that images of palace and pavilion had the same symbolic meaning in late Joseon period. The images of palace and pavilion were appeared as a background in other themes of the court decorative paintings. They symbolized a space filled with happiness and comfort; paintings of the Birthday Celebration for Guo Ziyi, One Hundred Children, or the Banquet of Queen Mother of the West (Seowangmo) would be good examples.
    Currently the remained paintings of Han Palace are stereotyped so that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2 groups by image and painting style: a type of a landscape painting with pavilion and a type of architectural painting. The former is depicted in a manner of traditional green and blue style. Especially, this type illustrates the general arrangement of buildings taken from paintings of the Birthday Celebration for Guo Ziyi. The important thing is that a peaceful landscape of Jiangnan( 江南) waterside takes up substantial parts of the overall composition. Judging by images and historical documents, it is assumed that this type would have been described the spring of Jiangnan, which was a very popular painting theme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Joseon.
    The latter actively used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such as linear-perspective, foreshortening, light and shadow, and highlight. The Suzhou print of Qing dynasty is assumed as the most influential source of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nd architectural image drawn in Han Palace painting. The second type also reveals the influences of Japanese art. For example, the composition of two folding screen as a set and the all over coloring style in the background reflect the format and style of Japanese folding screens.
    Concrete depiction and emphasis on the Chinese palace architecture in the second type reflect the fashion of Chinese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Joseon. The Chinese style buildings were popular among the wealthy literati residing in the capital; its style was applied even into the palace architecture of Joseon court.
    In conclusion, paintings of Han Palace reveal the hybrid aspect of the Joseon court painting: the mixture of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dopted through China, the influences of the Japanese art and the imaginary architectural images of China. Thus, paintings of Han Palace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trans-East Asian perspective, when studying the court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