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인조(鄭寅朝)의「울릉도기행(鬱陵島紀行): 식물채집기 (植物採集記)」에서 보는 1947년의 울릉도 (Ulleungdo Island of 1947 Seen Through Jeong In-jo's Travel Writing Ulleungdo: Plant Collection Record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09
17P 미리보기
정인조(鄭寅朝)의「울릉도기행(鬱陵島紀行): 식물채집기 (植物採集記)」에서 보는 1947년의 울릉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일본학 / 49권 / 87 ~ 103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종래 소개된 바 없는, 1948년 7월에 발표된 鄭寅朝의「鬱陵島紀行 : 植物採集記」을 통해서, 1947년의 울릉도 식물 및 현지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鄭寅朝는 이미 울릉도의 식물에 대한 많은 기초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이 기행문이 1947년 8월 ‘남조선 과도정부’와 ‘조선산악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울릉도학술조사대’의 식물전문조사팀에 소속되어 울릉도 현지답사를 수행했던 필자(정인조)에 의해 작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행문에서 언급된 당시의 식물 30여종은 현재 생육 식물들과 대조해본 결과 모두 현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기행문에서는 조국, 국토라는 확고한 의식이 잘 드러나 있고, 해방 직후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우리 국토 울릉도의 땅을 밟는 기쁨을 잘 드러나 있다.
    넷째, 해방 직후의 울릉도는 정치적으로는 고요했으나, 약초 및 채소 채취는 물론 벌목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행위는 당시뿐만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그 이전에도 일본인들의 잠입에 의해, 그리고 조선의 內地 및 섬(거문도 등) 사람들에 의해 지속되어왔던 일이이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가 일본인들이 남긴 현지 풍경으로서 도동항의 ‘함석 이층집들’, 산에 식재된 ‘스기’(杉. 삼나무)를 살필 수 있다. 그 외의 것은 기록되지 않아 파악할 수가 없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Jeong In-jo's travel writing titled “Ulleungdo: Plant Collection Records,” written in 1947. This travel writing describes the landscape of Ulleungdo Island in 1947,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but it has not yet been mentioned in the related studies so far. First, it seems that Jeong In-jo already had a lot of basic knowledge about Ulleungdo's plants. This is because this travel writing was written after a participation in the academic research team formed jointly by the ‘South Korean Transitional Government’ and the ‘Chosun Mountain Association’, that went to Ulleungdo in August 1947. Second, all the 30 plant species mentioned in the travel writing are growing on Ulleungdo. Third, the travel writing clearly reveals the firm consciousness of the motherland, and the joy of stepping on the land of Ulleungdo as our homeland, far from the mainl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ourth, Ulleungdo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as politically quiet, but it can be seen that harvesting herbs and vegetables as well as logging are routinely performed. Of course, this behavior was sustained not only at the time but also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Japanese and by the Joseon people (inland and islands). Fifth, the scenery of Ulleungdo left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een from the two-story houses in Dodong Port and the Sugi trees planted by the Japanese in the mountains. Everything else is not recorded and cannot be gras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