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와 일제 말의 ‘남양군도(南洋群島)’- (Criticism on the Continuity of Colonialismand the Extension of East Asian Perspectives - Kim Jeong-han’s unpublished work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and the South Sea Islands(남양군도, 南洋群島) at the end of Japa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3
30P 미리보기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와 일제 말의 ‘남양군도(南洋群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61권 / 61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하상일

    초록

    이 논문은 1966년 「모래톱 이야기」로 한국문단에 복귀한 요산 김정한의 소설을 그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그의 문단 복귀 이후 발표 작품들 대부분은 일제 말을 배경으로 하여 낙동강 일대 땅의 식민성을 특별히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식민성이 강화되어 갔던, 그래서 친일 청산을 올바르게 이루어내지 못한 우리 역사의 자기모순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둔 것이다. 게다가 1965년 한일협정과 베트남파병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 주도의 동아시아 정책에 편승하여 경제 원조의 대가로 미국에 의한 신제국주의를 사실상 용인한 반주체적이고 반민족적인 국가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는 것이 그가 지향하는 소설적 방향이었다. 「모래톱 이야기」에 이은 「평지」, 「수라도」, 「뒷기미 나루」, 「지옥변」 등이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담은 작품이다.
    김정한의 소설에서 일제 말을 배경으로 한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은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해 나가면서 더욱 구체적인 증언의 모습을 드러낸다. 한일협정과 베트남파병의 신식민지 제국의 논리가 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미국의 음험한 전략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제국과 식민의 기억을 일국 내의 문제가 아닌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시켜야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제국과 식민의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제3세계의 연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유사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아시아 민중들의 국제주의적 연대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산서동 뒷이야기」, 「오끼나와에서 온 편지」에 이어 그의 미발표 미완성작 「잃어버린 山所」는 이러한 그의 소설적 지향을 가장 명시적으로 보여준다.
    「잃어버린 山所」는 일제 말의 남양군도를 배경으로 태평양 전쟁에 희생당한 노동자들의 실상과 위안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증언한, 1970년대 우리 소설사의 첫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김정한의 소설을 민족주의적으로 읽고 지역적으로 사유해온 관점은 일정 부분 타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의 소설적 지평을 같은 시공간 안에 가두는 동어반복을 답습한 한계가 뚜렷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그의 소설을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장해서 읽음으로써, 그에 대한 소설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내고자 한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ovels written by Yosan Kim Jeong-han who returned to the literary world in Korea in 1966 with 「The Sandbank Story」(「모래톱 이야기」) centering around his unpublished work,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Most of the works he wrote after returning have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ir time background and highlight coloniality in the area around the Nakdong River. This was focused on criticizing the irony of our history that even after the emancipation, coloniality was still being reinforced while we were failing to liquidate pro- Japanese remains properly. Besides, as we can see it from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in 1965 and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following the US-led East Asian policy, they accepted the US’ new imperialism indeed in return for their financial aid. He criticized Korea as an anti-independent and anti-ethnic country severely. Not only The Sandbank Story」(「모래톱 이야기」) but 「The Flatland」(「평지」), 「Surado」(「수라도」), 「Dwitgimi Naru」(「뒷기미 나루」), and 「Jiokbyeon」(「지옥변」) released afterwards all contain such consciousness of his on that matter.
    Criticizing the continuity of colonialism in Kim Jeong-han’s novels having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background were getting more detailed as he broadened his views to East Asian perspectives. Since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and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conformed to the US’ strategies to gain supremacy in Asia, he thought we should regard our memory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not just as a problem limited to our own country but as that of East Asia broadly. In fact, he deemed that the Third World’s solidarity w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paid keen attention to international solidarity among Asians sharing similar experiences. 「Sanseodong's Behind Story」(「산서동 뒷이야기」) and 「Letters from Okinawa」(「오끼나와에서 온 편지」) and also an unpublished unfinished work,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he wrote afterwards all reveal such consciousness of his most explicitly.
    Lost Tomb(「잃어버린 山所」) was written in the 1970’s and has the South Sea Islands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background.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stating facts about the laborers and comfort women sacrificed during the Pacific War realistically. So far, we have investigated Kim Jeong-han’s novels in nationalistic and local perspectives, and it is still valid partly; however, it reveals a clear limitation that we have trapped the horizons of his novels limitedly into the same time and spac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same 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tried to get over the limitation to read his novels with more extended East Asian viewpoint and open a new horizon for follow-up research on his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