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척령기 울릉도와 독도로 건너간 거문도 사람들 (The people whom goes across to Ulleung-do and Dokdo after the reclamation policy of Ulleung-d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1.04
33P 미리보기
개척령기 울릉도와 독도로 건너간 거문도 사람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8호 / 197 ~ 229페이지
    · 저자명 : 김수희

    초록

    거문도인들이 울릉도에 도항하여 경제활동을 한 사실은 100여 년 이상 지속되어 온 것으로, 노동요나 구전되는 이야기를 통해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거문도와 울릉도를 왕래하며 교류한 사실을 증명할 구체적인 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거문도에는 ‘울릉도로 나는 간다’라는 노동요와 울릉도의 나무로 만든 생활용품이 남아있는 것이 고작이다. 또한 이 두 지역의 관계를 알 수 있는 인적 교류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은 아마도 촌락 단위로 도항한 거문도인들의 강한 결집력 때문인 듯하다. 전라도인들이 울릉도로 건너가서 경제활동을 한 사실은 1882년 검찰사 이규원의 보고서를 통해 알려졌다. 전라도인들이 울릉도에 건너가서 나무를 베어 배를 만들고 전복과 미역을 채취하고 있었다. 이들은 독도가 보이는 울릉도에서 매년 계절적 어업에 종사하였으며, 울릉도・독도를 생산 공간으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울릉도 개척령이 반포되자, 울릉도를 개척하는 데에 큰 공적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조선 침략 정책과 이에 대항하여 조선 정부가 시행한 여러 가지 법적 규제로 결국은 배제되고 말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거문도인들이 울릉도에 도항하여 어로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은 어업공동체의 완전한 해체뿐만 아니라, 울릉도 역사와의 단절을 의미한다. 일본 연구자들은 1903년경 일본인으로부터 어업을 전수받고 조선인들이 독도를 인지하였다는 주장은 최소한 100여 년 전부터 울릉도로 도항하여 벌인 어로활동을 배제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앞으로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 울릉도를 생활터전으로 삼았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어민들의 울릉도 도항과 독도나무를 베어 온 이들의 어로 활동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Ulleung-do passage and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Chollado people who appear in the literature of the Choseon period were confirmed by Kyuwon Lee who was a government investigator in 1882. The use of the Tokyo fishing ground was admitted formally by reclamation law, and they helped the government and participated also the reclamation policy of the island. However, their activity was reduced by Japanese Ulleung-do aggression and the various laws that carried out so that the Choseon government prevented Japanese aggression, and it has been expelled after all.
    The Geomun-do residents made passage toward Ulleung-do with the itinerary where as much as schedules of 15-30 days are caught in the Choseon period. They crossed over Ulleung-do in every year from at least May 27th in 1787 and they cut the tree and made the boat, and they quoted the ear shell and the brown seaweed. The product of Ulleung-do which comes to get like this was sold in Chollado direction and Seoul the possibility of earning the profit was considerable. But the talk of the families which have the experience of fishing in Ulleung-do electrolysis is coming currently in Geomun-do, they have not a relatives who dwells in Ulleung-do. Because this fact consisted of the unity power that the fishermen who made a voyage to Ulleung-do are strong in, it depends on what all the members come back after they stopped a voyage to Ulleung-do and did not live in there. From such side, the return of the Geomun-do person means the complete dismantling of the fishery community and the break with the Ulleung-do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