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八相圖에 표현된 華嚴說法圖 硏究 - 용문사 팔상도와 통도사 팔상도 중심으로 - (A Study on HwaeomSeolbeopdo Demonstrated in Palsangdo in Joseon era―Focusing on Palsangdo of Yongmun Temple and Palsangdo of Tongdo Temp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朝鮮時代 八相圖에 표현된 華嚴說法圖 硏究 - 용문사 팔상도와 통도사 팔상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9권 / 9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 八相圖에 표현된 華嚴說法圖의 내용과 그 형식을 고찰하여 美術史的 위치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팔상도 중 가장 오래된 예천 龍門寺의 팔상도(1709)와 경전의 내용을 가장 체계적으로 표현했다고 보이는 通度寺 팔상도(1775)를 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성과를 원만히 달성하기 위하여 연관 문헌자료와 조선시대 『月印釋譜』 및 『釋氏原流』의 팔상판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이 연구 대상의 용문사와 통도사의 팔상도는 화엄설법도가 녹원전법과 관련이 없는 노사나불 중심으로 묘사되었다는 점이 최대 특징이다. 이와 같은 녹원전법상에서 노사나불이 『화엄경』을 설하는 장면을 묘사한 팔상도는 중국이나 일본의 불전도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조선시대 팔상도가 그려지던 고려 宣宗 4년(1087)에 ‘主華嚴經’이 유입되었고, 조선 후기에 성행했던 화엄사상의 영향으로 조선 肅宗 12(1686)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판각되었던『화엄경소』의 변상도가 조선 후기에는 『화엄경』의 설법장면을 의미하는 화엄설법 도상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불교사상은 그 傳來와 流通에 있어서 교주격인 석가모니 근본사상과 불교적 이념을 쉽게 실천하고 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경전의 내용을 잘 표현한 도상, 즉 불화로 표현해 냄으로써 궁극적인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중 초기 불교시대의 경전에 나타나는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8폭으로 나누어 도상으로 나타낸 팔상도는 어떤 다른 불화들보다도 으뜸이 되어왔다. 조선 후기 팔상도에는 녹원전법과 화엄설법이 한 화면에 그려졌고 화엄설법이 더 비중 있게 표현되었다. 특히 『화엄경』 칠처구회 가운데 제9회 서다림회의 노사나불 설법장면을 도해한 도상이 조선 후기에도 계승되고 있어, 우리나라 화엄경변상도 조형 양식의 원형 된다는 점에 회화사적 의의가 있다. 팔상도의 모본인 『月印釋譜』 팔상판화가 국문학・불교학・서지학・미술사학 등에서 귀중한 보물인 것과 마찬가지로 당시 최고의 기량을 갖춘 화사가 제작한 용문사와 통도사 팔상도에 표현된 화엄설법도는 조선시대 불화 양식의 기준이 되며, 佛敎繪畵史的인 관점에서 보아도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最古의 작품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s of Hwaeom Seolbeopdo(華嚴說法圖) expressed in Palsangdo in Joseon and the purpose of securing the position of art history. The primary subject of this study was Tongdo Temple Palsangdo(通度寺 八相圖) (1775), which is the most systematic representation of the scriptures of Yongmun Temple Palsangdo(龍門寺 八相圖) in Yecheon (1709), the oldest and existing Pal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compared and examined materials from the literature and Palsang wood printing of Wolinseokbo(月印釋譜) and Seokssiwonryu(釋氏原流)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Palsangdos of Yongmun Temple and Tongdo Temple in this study was that Hwaeom Seolbeopdo was portrayed with Nosanabul placed in the center not associated with Nokwonjeonbeop. Palsangdo, which depicts Nosanabul giving sermons of Hwaeumgyeong on Nokwonjeonbeop, has not been observed in China and Japan. This means that Ju-Hwaeumgyeong(主華嚴經) was introduced in the 4th year of Seonjong in Goryeo Dynasty(宣宗 4年, 1087) in which the Palsangdo of Joseon Dynasty was depicted, and Hwaeumgyeongso Byeonsangdo was continuously released until the 12th year of Sukjong in Joseon Dynasty(肅宗 12, 1686) due to Hwaeom thought rampant in late Joseon, and settlement of Hwaeom Seolbeop iconography meant asscenes of sermons of Hwaeumgy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thought that the Buddhist thought was tobe able to attain ultimate purpose by expressing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in an iconography, that is, Buddhist paintings as a way of easily practicing and attaining Buddhist ideology and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Buddha as the founder. Palsangdo, which is represented by iconography in eight scrolls for the life of Buddha appearing in the scriptures of the early Buddhist era, has become the most distinguished Buddhist painting. In Parsangdo in late Joseon, Nokwonjeonbeop and Hwaeom Seolbeop were painted on one screen and Hwaeom Seolbeop was more emphasized. In particular, the iconography of Nosanabul with scenes of sermons of the 9th Seodarimhoe in Hwaeumgyeong Chilcheoguhoe was succeeded in late Joseon,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prototype art form of Hwaeumgyeong Byeongsangdo(華嚴經變相圖) in Korea. Just as Wolinseokbo Palsang wood printing is a valuable treasure in Korean literature, Buddhism, bibliography, art historiography, etc., so Hwaeom Seolbeopdo produced by great artists of the era and expressed in Palsangdos of Yongmun Temple and Tongdo Temple Buddhist paintings can be a criterion of Buddhist paintings in Joseon, representing as the best artwork of Joseon from a perspective of Buddhist art histo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