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화 천도기(遷都期) 문인 지식인의 현실 대응 논리와 작품 세계 -최자의 「삼도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ty awareness attitude and work world of literary intellectual in the Gangdo(江都) period as a goryeo(高麗) capital -Focusing on Choi-ja(崔滋)'s ‘samdo-bu(三都賦)’-)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12
38P 미리보기
강화 천도기(遷都期) 문인 지식인의 현실 대응 논리와 작품 세계 -최자의 「삼도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6호 / 215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민희

    초록

    「삼도부(三都賦)」는 강화 천도기(遷都期) 문인지식인이었던 최자(崔滋)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잘 보여준다. 「삼도부」는 평양 출신의 변생과 개경 출신의 담수, 그리고 강화에 사는 정의대부, 이렇게 3인이 만나 각기 과거와 현재의 수도를 자랑하고 비판하며 대화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런데 「삼도부」는 평양과 개경을 대비해 단순히 강화 천도를 예찬하거나 강도(江都)를 자랑하기 위한 목적에서 지어진 작품이 아니다. 오히려 최씨 정권 하에 목숨을 부지하면서 소극적으로나마 이상적인 양심을 꿈꿨던 최자의 이상을 담고자 한 작품에 가깝다. 세 사람이 세 수도를 자랑하고 이를 반박하는 변론 내용에서 문신인 최자가 평소 갖고 있었던 유학자적 관점이 잘 드러나 있다.
    최자가 쓴 문학비평서인 『보한집(補閑集)』에 담긴 그의 문학론을 참고할 때, 「삼도부」를 보다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전 세대 문학지식인인 이인로, 유승단, 이규보 등과 달리, 최자는 합리적 유교주의와 문치주의 의식과 현실 인식 태도를 갖고 있었다. 그의 이러한 사상과 관점이 「삼도부」에 전략적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본고에서 밝혀 논하고자 했다.
    최자의 「삼도부」를 통해 무신 정권과 몽골 침입과 같은, 대내외적 역사적 부침 속에서 고뇌하고 그 나름대로 현실대응의 시각을 견지했던 문인지식인의 세계관을 확인할 수 있다. 「삼도부」야말로 최씨 정권 하 강화 천도기에 ‘깨어 있는 문인지식인의 양심’의 일단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ongolia invaded Goryeo(高麗) in the Military regime. The Choi's regime moved the capital from Gaegyong(開京) to Ganghwa(江華) and continues the Goryeo-Mongolia War. In Ganghwa, which was the capital of Goryeo for about 40 years, the best literary intellectuals of the day were activ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 is Choi-Ja(崔滋)'s “Samdo-bu(三都賦)”. “Samdo-do” is the work that best shows Choi's unique work world as a literary intellectual in the period of Ganghwa capital. When we refer to the Literary Criticism, Bohanjip(閑集集) written by Choi, we can understand the “Samdo-bu” properly.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of literary intellectuals such as Lee-Inro(李仁老), Yu -Seongdan(兪升旦), and Lee-Kyubo(李奎報), Choi-Ja had a rational Confucianism, sentimentalism, and a perception of reality. “Samdo-bu” is well known for his ideas and perspectives.
    The “Samdo-bu” consists of the dialogs among the three people, Byeonsaeng(辨生) from Pyongyang(平壤), Damsu(談叟) from Gaegyong(開京), and Jeongui-daebu(正議大夫) who lives in Gangdo(江都), where the three people meet each other and boast and criticize each other's past and present capitals. By the way, “Samdo-bu” is not simply a praise for moving the capital to Ganghwa. Rather, this work has a dream of Choi-Ja, who dreamed of an ideal conscience while laying down his life under the military regime.
    The three men boasted of the three capitals and refuted it, showing what the viewpoint of the Confucian scholar Choi-Ja had in common. However, the consciousness of actively seeking to overcome the real situation as a magistrate in “Samdo-bu” does not seem well. It is only a matter of being a literary intellectual who seeks to pursue the realization of kingdom politics by introducing frugal and compassionate people.
    Nevertheless, we can confirm the world view of Choi-Ja, as a literary scholar, who maintained his vision of reality in his own agony while suffering from the historical ups and downs in his “Samdo-bu”. There is no other way to refer to “Samdo-gu” as a masterpiece that shows all aspects of the intellectual who produced Gangwha literature in the period of Gangwha capital. This is because “Samdo-bu” shows 'conscience of intellectuals who are awake' under the military regime in the period of Ganghwa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