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인사·통도사의 단옷날 소금 관련 의례의 연유(緣由)와 차이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ason and Difference of Dano(端午)’s Salt-related Rituals of Haeinsa(海印寺) and Tongdosa(通度寺))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4.10
26P 미리보기
해인사·통도사의 단옷날 소금 관련 의례의 연유(緣由)와 차이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5호 / 429 ~ 454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본 연구는 합천 해인사와 양산 통도사에서 행해지는 단옷날 소금 의례에서, 두 의례가 절차상 차이를 보이는 연유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시로서의 단오와 소금의 의미에 대해 우선 살펴보았다. 민간에서 단오는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5월 5일’은 홀수 즉 양수(陽數) 두 개가 겹치는 중양절(重陽節) 중에서도 가운데에 위치하여 양기(陽氣)가 가장 치성한 날로 여겨진다. 이에 반해 소금은 바닷물의 정수로써 음기(陰氣)를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즉 단옷날의 소금 의례는 음·양 오행설을 바탕으로 하여, 양기가 가득한 중양절에 음기를 상징하는 소금을 통해 음·양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라 볼 수도 있으며, 수극화(水剋火) 즉 ‘물’로 ‘불’을 억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바탕에 두고 본고에서는 두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민간에서 행해지던 의례를 사찰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이며, 둘째는 소금을 활용하는 방식이 사찰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사찰은 그 건물들이 대부분 목조이기에 화재에 취약하여, 화재 예방의 의미를 담고 있는 소금 의례가 적극적으로 행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인사에서는 사찰 주위와 해인사의 남쪽에 위치한 가야산 남산제일봉에 소금단지를 묻는 방식으로 의례가 진행되며, 통도사에서는 건물의 들보 위로 소금단지를 올리는 방식으로 의례가 진행된다. 가야산은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화성(火星) 즉 바위로 이루어진 석산(石山)이기 때문에, 남산제일봉에 날려오는 화기를 억제하기 위하여 남산제일봉을 포함한 사찰 주위에 소금을 묻는 방식으로 의례가 진행된다. 반면 통도사는 그 창건 설화부터 수호룡 사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수호룡의 가피로 바닷물의 기운이 사찰을 감싸게 하여 화재를 예방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들보 위로 소금단지를 들보 위로 올리는 형태로 의례가 진행되었다.

    영어초록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mples' rituals, which are formally performed in Haeinsa and Tongdosa on Dano Day. Dano, located in the middle of Jungyangjeol, was considered to be the day of the most full of energy. And it was found that it has the meaning of using seawater, that is, salt, the essence of yin(陰氣), to press this yang(陽氣).
    Since the majority of the buildings are wooden structures, temples are highly vulnerable to fire. In addition, the two temples differ in the procedure in which the ritual is carried out, and in the case of Haeinsa, since Gayasan Mountain is a stone mountain, in terms of feng shui geographyIn it is called ‘Hwaseong(火星)’, the ritual was performed by burying salt in the sense of “pressing the energy of fire ”. On the other hand, since Tongdosa is closely related to the ideology of a guardian dragon from its founding story, in the form of raising a salt on a beam to mean “soaking the temple” in the energy of the sea with the help of a guardian drag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