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륜행실도> 도상의 삽화적 성격과 그 함의 -<삼강행실도>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s in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lt;오륜행실도&gt; 도상의 삽화적 성격과 그 함의 -&lt;삼강행실도&gt;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0호 / 141 ~ 168페이지
    · 저자명 : 조현우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오륜행실도>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정리하고, 그러한 변화가 함축하는 의미를 사상사․문화사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했다. 다른 행실도와 비교해 볼 때, <오륜행실도> 도상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변화는 ‘장면 수의 축소’이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그림의 장면 수가 몇 개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서사와 그림 사이의 거리를 밀착시키고 그림을 서사에 종속시키려는 일련의 경향 속에서 생겨난 변화였다. 이에 따라 <오륜행실도>의 도상은 <삼강행실도> 도상이 갖고 있었던 ‘상하 분별의 형상화’라는 독자적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고, 서사의 특정 장면을 재현하는 보조적이고 종속적인 역할로 격하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상의 위상 격하는 행실도 자체의 위상 격하와도 맞물려 있는 것이었다. <삼강행실도>를 비롯한 행실도들은 ‘예치(禮治)’를 위해, 추상적 원리인 ‘禮’를 백성들에게까지 전파하고자 엄청난 국고를 들여 간행되었다. 그러나 사림파의 등장 이후, 행실도는 특정 시기에 특정 인물들이 특수한 상황에서 행동한 ‘사례’일 뿐, 보편적인 ‘원칙’이 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에 따라 행실도가 원래 차지하고 있었던(혹은 그러리라 기대되었던) 보편적 원칙을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지위는 조선 후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된 <소학>이 차지했다. <오륜행실도>는 바로 행실도가 <소학>의 보조적인 텍스트로서의 지위가 되어버렸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focussed on the transition and its meaning of the images in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 which was the last one of many books for the enlightenment in Chosun Dynasty. The most remarkable transition of the images in Oryunhaengsildo was the reduction of scnens those were represented the story of 'Samgang'(三綱; the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scenes the images in Oryunhaengsildo had been turned into illustrations by which the narrative and images we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immediately. But this transition of images also had brought about the inclination that the images had been subordinated to the narratives. The most interesting thing, I think, of these serial changes was that the relative relationships were repeated in two different levels, between the narratives and the images in Oryunhaengsildo and between Oryunhaengsildo itself and Sohak(小學) as the relationship of root and branch(本末). As the appearance of Sohak, this Book promptly had took the place of the main book for the enlightenment, Oryunhaengsildo had been downgraded as the sub-text. Consequently the transition of the images in Oryunhaeng -sildo had been a barometer that showed the changes of philosophical thoughts and cultural trend in late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