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청 시기 공자의 이력도지(履歷圖誌)와 한국 문헌―하버드 연경도서관 장서를 중심으로― (A Study of Illustrated Biographical Records 履歷圖誌 on Confucius from the Ming-Qing Dynasty and Related Documents from Korea―Centered around the Rare Books Collection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1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2
141P 미리보기
명청 시기 공자의 이력도지(履歷圖誌)와 한국 문헌―하버드 연경도서관 장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4호 / 673 ~ 813페이지
    · 저자명 : 모문방

    초록

    동아시아 각국에도 孔子의 聖蹟圖가 존재한다. 본문은 하버드 연경도서관 선본실이 소장하고 있는 明淸 및 朝鮮時代의 孔子에 대한 履歷文獻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全文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첫 번째 부분은 明淸時期에 나타난 孔子履歷圖誌가 형성한 儒家의 서술적인 圖畫와 聖蹟에 대한 규범 등 두 가지 계통을 탐구하며, 孔廟와 연결하여 孔子形象에 신성성을 부여한 문장들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편년체로 쓴 기록, 闕里誌와 聖蹟圖 등으로부터 14種에 달하는 朝鮮時代 孔子履歷文獻에 대해 논하며, 「闕里誌」를 핵심으로 정통성을 계승한 것과 聖像에 대해 관심을 둔 것, 朱子를 공자의 반열에 둔 것 등의 특색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本文은 中, 韓 양국이 孔子 履歷文獻에 대한 정리를 통해, 동아시아 한문화권은 「聖蹟」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지만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양상이 공통으로 구축한 圖像을 관찰하며 더 깊게 들어가 中韓兩國은 규범을 어떻게 형성하고 역사를 어떻게 해석하고 경전을 어떻게 분석했는지를 비교하였다. 필자는 그들의 분석과 해석은 聖人과 經典의 구조로 이루어진 「儒家의 知識型態」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간주해서 더 나아가 동아시아 각국이 視覺化 수단을 통해 유가의 지식 양식을 어떻게 형성했는지를 연구하여 近世文化의 변화라는 명제에 답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ere is no lack of Confucian relic images (孔子聖蹟圖) across the countries of East Asia, and this paper centers around Ming-Qing and Joseon period biographical sources on Confucius from the rare books collection at the Harvard-Yenching Library 哈佛燕京圖書館. It is split into two major parts, the first investigates how several illustrated biographical records of Confucius from the Ming-Qing period formed the two systems of narrative illustration and relic model within the school of Confucius. It also explores the textual development process which linked this to temples of Confucius and sanctified his image. The second part uses the three systems of chronicles, the Queli Zhi 闕里誌and relic paintings 聖蹟圖to discuss fourteen kinds of Joseon period biographical sources, as well as including features such as the centrality of “the Queli Zhi” 闕里誌, continued orthodoxy, focus on icons and Zhu Xi’s 朱熹placement, etc. Through the examination of biographical sources on Confucius from China and Korea divergent trends and common constructions of images centred around “relics” (聖蹟) that radiated out through the East Asian Chinese cultural sphere of influence can be observed. This paper also compares in depth how the two countries of China and Korea shaped these models and interpreted history and classical analyses, which are seen as focusing on the “Confucian knowledge model” constructed by sages and classics. This paper additionally explores how countries in East Asia used visual means to form this Confucian concept of knowledge, responding to the modern cultural transformation pro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