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08년 作 철유 筆 수국사 왕실발원 삼불괘불도(三佛掛佛圖) 연구 (A Study on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三佛掛佛圖) at Suguk Temple (守國寺) Promoted by the Royal Family Painted by Cheol‐yu in 1908)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9.06
29P 미리보기
1908년 作 철유 筆 수국사 왕실발원 삼불괘불도(三佛掛佛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2호 / 199 ~ 227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이 논문은 서울 수국사 왕실발원 <삼불괘불도> 수화승 ‘철유’ 의 생애와 유파 관계를 통해화풍을 알아보고 도상과 양식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창의적인 기법과 새로운 불화 양식을 시도한 ‘철유’ 의 뛰어난 예술성을 조명해보고 수국사 <삼불괘불도>의 불교미술사적 위치를 규명해보는 글이다.
    수국사는 왕실의 원찰로서 수준 높은 불화들이 많이 조성되었다. 이 가운데 1908 년에 조성된 <삼불괘불도>는 특이한 도상의 구성과 19 세기 후반기부터 20 세기 초반에 걸쳐 서울·경기 지역은 물론 전국에 걸쳐 매우 뛰어난 활동을 보이는 석옹당 철유(石翁堂 喆侑)가 출초(出草)와 감동겸 도편수(監董兼都片手)를 맡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 근대기 최고의 화승이라고도 말 할 수 있는 ‘철유’ 는 다양한 주제의 화적을 남기고 있으며, 여러 화승들과의 관계를 통해 기법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전통성을 유지한 도상의 변용과 독특한 양식을 추구한 서양화적 기법 등 예술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불화를 조성함으로써 불교회화사적 의의를 새롭게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철유’ 의 뛰어난 기량으로 조성된 수국사 <삼불괘불도>는 석가불·약사불·아미타불로 구성된 석가삼세불도 형식에 약사불을 제외하고 노사나불이 구성된 매우 특이한 삼신삼세불 형식으로 한국의 불화 가운데 유일무이한 도상으로 불교미술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그리고 과하지 않은 서양화 기법의 음영 표현과 밝고 명쾌한 색채의 구성, 광배의 묘사방법과 영락장신구의 장엄 등은 ‘철유’ 만이 갖고 있는 독창적인 감각으로 이루어낸 성과이다.
    이렇게 창의적인 도상과 새로운 불화 양식의 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수국사 왕실발원 <삼불괘불도>는 뛰어난 예술성을 펼쳐 낸 한국 근대 불화의 큰 맥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and examine the outstanding artistry of 'Cheol‐yu', who tried creative techniques and new styles of Buddhist paintings, and to identify the Buddhist historical position of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at Suguk temple by illuminating the iconograph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a leading monk painter Cheol‐yu’s life and his sector relations for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promoted by the Royal Family at Suguk temple in Seoul.
    Suguk temple, the main temple of the royal family has many high‐quality Buddhist paintings. Among them,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which was created in 1908, is composed of a unique iconography, for which Seokongdang Cheol‐yu(石翁堂 喆侑) very act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ountry was appointed as Chulcho (出草) and Gamdonggyeom Dopyeonsu(監董兼都片手)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Cheol‐yu, who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best monk painters in the Korean modern period, leaves painting records with various subjects, and it can be seen that he pursues diversity of technique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monk painters. Especially, by creating Buddhist paintings that show artistry and creativity, such as transformation of iconography maintaining traditionality and Western painting technique that pursues unique style, he newly prepared a Buddhist painting historic meaning.
    As such,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at Suguk temple which was created with the outstanding skills of 'Cheol‐yu', is a very unusual form of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comprising Locana, that is, the only one of a kind iconography of Buddhist paintings, which is very meaningful in the Korean Buddhist art history, excluding the Bodihisattva from the form of Three World Buddhas Painting comprising Sakyamuni- Bodihisattva-Amitabha. The shadow expression, not excessive, of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 the composition of bright and cleIt can be said that the "Three Buddhas Banner Painting", where a creative iconography and an attempt at new Buddhist paintings are found, formed the big vein of Korean modern Buddhist paintings that unveiled excelar colors, and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halo and the magnificence of Yongrak ornaments are accomplished by the unique sense of 'Cheol‐yu' alone.lent arti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