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4세기 전기 최성지(崔誠之)·문도(文度) 부자의 불교경영 (The Buddhist management of the Choi Sung-Ji(崔誠之) and his son Choi Moon-Do(崔文度) in the early 14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8
32P 미리보기
14세기 전기 최성지(崔誠之)·문도(文度) 부자의 불교경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70호 / 165 ~ 196페이지
    · 저자명 : 최영호

    초록

    이 글에서는 14세기 전기 최성지·문도 부자의 불교경영을 새롭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14세기 전기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운영체계도 분석하였다.
    음양술·천문학·수시력 및 성리학과 각각 관련된 지식인으로 인식된 최성지·문도의 불교적인 행적과 활동은 『졸고천백』과 함께 충숙왕 복위 3·7년 인출된 해인사대장경판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인출정보에 남아 있다.
    인출불사는 최성지가 충숙왕 14년 음력 7월 이전부터 발원하였으며, 최문도가 충숙왕 복위 3년 음력 6월 경부터 이루어졌다. 최성지 부부는 당시 해인사대장경판의 보존·관리업무를 총괄하던 고려국대장도감이나 충숙왕으로부터 인출불사의 승인을 받았다. 최문도는 당시 강화도의 대장경판당에 보존된 해인사대장경판의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을 인출한 다음, 집안의 원당 천화선사에 봉안하였다.
    최문도의 인출정보에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공경하는 효 의식과 함께 불교적인 존엄성도 반영되어 있었으며, 삼보 및 부처의 은혜 등 불교적인 신앙도 담겨 있다. 때문에 주자성리학의 소양을 실천한 최문도는 불교적인 효의 실천과 함께 불교 신앙도 탄력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최성지는 개경 인근의 천화선사와 함께 강화도의 선원사도 집안의 원당으로 경영하였다. 두 사원은 왕실의 원당으로 기능한 선종의 조계종 계열이었다. 최성지는 부모·가족의 명복기원과 자신의 안녕을 목적으로 이들 사원을 원당으로 경영하였다.
    최성지의 원당 경영목적은 최문도가 계승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인출불사에도 이어졌다. 최문도는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명분을 돌아가신 부모님의 뜻을 계승하는 동시에, 부모의 명복 기원으로 삼았다. 이러한 명분은 성리학자 최문도가 실천한 효의 덕목과도 직결되며, 목은 이색이 주도하여 우왕 8년 신륵사의 대장판전으로 봉안한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논리적인 근거와도 부합하였다. 천화선사는 원나라의 승려 지공이 하안거에 참석하고 밀교계통의 불교경전을 교정하는 등 원나라와 불교문화의 교류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영어초록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how the Choi(崔) family undertook their Buddhist woodblock printing business in the early 14th century from a new perspective. Particularly,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Choi Sung-Ji and his son Choi Moon-Do’s printing business and their style of administering temples under their influence. Also, it will carefully look into their unique operating system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printing in the early 14th century.
    At first, Choi Moon-Do start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printing work from the 6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year of 1337(忠肅王 復位 3年). A total of 600 mass volumes of 『Maha prajnaparamita Sutra(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大般若波羅蜜多經)』 was stored at the Chen- huasun-Temple(天和禪寺) that represents Choi family’s “Wishing Hall(願堂).” Choi Moon-Do started this Buddhist woodblock printing project in a bid to devote to his deceased parents. Moreover, Choi Sung-Ji governed both the Chenhuasun-Temple and the Sunwon-Temple as their family’s Wishing Halls. These Wishing Halls were founded especially for Choi Sung-Ji family’s and his personal well-being. Chenhuasun-Temple was also a place where cultural exchange of Buddhism with the Chinese Won(元) dynasty carried out.
    Lastly, Choi Sung-Ji and his wife obtained the approval to initiate this Buddhist scripture printing campaign from the Goryeo emperor Chungsuk(忠肅王) and the Daejangdogam(高麗國大藏都監) which functioned as a task-force engraving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during the Mongol’s invasion to Goryeo. This presswork financially supported by Choi Moon-Do was possible due to the well-conserved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preserved at the Ganghwado Island(江華島)’s archive treasury which was stationed near the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