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중대의 지방통치 (A study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dynasty focused on Ancient tomb in Ulleungdo(鬱陵島))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02
38P 미리보기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중대의 지방통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1권 / 131 ~ 168페이지
    · 저자명 : 한준수

    초록

    울릉도는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독자적인 해양문화를 형성했다.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가 나왔는데, 6세기 중반부터 10세기를 하한선으로 하는 토기편년이 제시되었다. 대체로 신라 중·하대와 궤를 같이 한다.
    우산국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나타난다. 고구려 등 한반도 북부의 국가들과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중국측 기록에는 3세기 무렵부터 등장한다. 사료를 보면 우산국은 전래된 대륙문화를 토대로 하여 일정한 수준의 문화를 향유하며 정치체를 형성하였고 남으로는 왜 등과 교류를 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5세기 후반의 국력신장을 바탕으로 지증왕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정복 이후 직접적인 지방통치를 시도하였고, 행정실무를 수행하는 촌주를 설치하였다. 직접지배에 따른 지역민의 반발과 반신라적 정서를 차단한 것이다. 외형적으로 기존 사회정서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신라의 통치력을 침투시킨 것이다.
    문헌에 보이는 석불, 석탑, 쇠종은 이 곳에 불교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데 지역민의 삶과 신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8∼9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불상의 존재는 그러한 가능성을 높여준다. 신앙은 지역민과 병사들에게 결속과 안정을 제공했다. 신라는 사찰을 세우고 불교를 포교하며 그들을 신라인으로 동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찰이 존재했던 곳이 우산국의 치소(治所)였을 것인데, 현재의울릉도 서북부 현포지역으로 추정된다. 기와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고대사회에서 기와는 관청에서만 소비된다는 점에서 근거는 충분하다. 서북쪽의 현포, 북동쪽의 천부, 남서쪽의 남양은 모촌(母村)으로 추정되며,주변으로 자촌(子村)이 분화되어 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전개된 한반도 정세와 일본의 동향은 변화를 촉발했다. 신라가 당군을 몰아내면서 나당연합이 나당전쟁으로 변질되어, 배후세력인 일본은신라에게 위협이 되었다. 성덕왕대 당과 발해가 전쟁을 하면서 당과 신라가 우호관계로 전환되자, 발해는 일본과 친선관계를 조성하여 견제하였으므로 이들의 밀착을 방관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경덕왕대 일본은 신라정벌계획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동해에 위치한 우산국은 군사적 해양거점으로 운용되었다.
    발해의 일본사행로는 ‘함경도-동해연안-울릉도-독도-오키섬-산인’으로 연결되는 항로가 기본 루트였다. 이는 대양항해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동시에, 울릉도와독도 등 명확한 조타목표가 존재하여 항해의 효율성도 높았다. 주요항로가 울릉도를 조타목표로 했으므로 신라는 능동적으로 대응했다. 선박통행을 감시하거나 군사력을 이용하여 상호 교섭을 차단하였다. 동시에 고립된 해양공간으로 외부의 침략에 취약한 이 곳을 지키기 위한 대비책도 시행하였는데 신라본토의 통치질서와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우산국은 지리상 고립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영역으로서 중·하대 지방통치체제 내에 존속하며 동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In Ulreungdo(울릉도), people have been residing since at least the BronzeAge, and they created an independent marine culture. Meanwhile, meaningfuloutcomes were produced from archeological research, and earthenwarechronicles that ranged from the mid-sixth century to the tenth century wereproposed. Overall, there is a similar type of appearance to that from themiddle and later Silla periods.
    The perception of Usanguk(于山國) appear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Usanguk(于山國) is believed to have made exchanges with countries in the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Goguryeo(高句麗), and this country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from around the third century. In looking intohistoric literature, Usanguk(于山國) formed its political system while enjoying acertain level of culture based on Chinese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Then, it was involved in exchanges to the south with Japan.
    Around this period, Silla conquered Usanguk(于山國) by sending Isabu(異斯夫)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智證王) as part of the extension of Silla’snational power around the fifth century. Silla attempted direct control overlocal regions after the conquest, and established administrative villages inwhich the village head stayed and carried out administrative affairs. This wasa means to block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and their anti-Silla emotionsfollowing direct rule. In this way, Silla was able to penetrate that area withtheir ruling power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externally.
    The stone Buddha, stone pagodas, and steel bells mentioned in literatureshow that Buddhism existed in this area; this affected greatly the lives andfaith of local residents. The existence of a bronze Buddha statue that is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between the eight to ninth centuriesraised such a possibility. Faith offered unity and stability to local residents andsoldi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and propagation of166 … 한국학논총 (41)Buddhism, Silla tried to assimilate the residents as people of Silla.
    Also, the location of such Buddhist temples must have been the rulingcenter of Usanguk(于山國), and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northwesternHyeonpo(현포) area of current Ulreungdo(울릉도). This is proven by theexcavation of remains such as the pieces of traditional roof tiles because rooftiles were only used for government offices in this ancient society. Hyeonpo(현포) in the northwest, Cheonbu(천부) in the northeast, and Namyang(남양) inthe southwest are estimated to be the main villages with minor villages spreadaround them.
    Meanwhile,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rend ofJapan, which had emerged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prompted changes. As Silla expelled soldiers of Tang(唐), the alliance betweenSilla and Tang deteriorated into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while Japan,which was the de facto power, became a threat to Silla. As the relationshipbetween Tang and Silla became friendly along with the beginning of a warbetween Tang and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Balhae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in order to keep them incheck. As a result, Silla could not overlook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Balhae and Japan any more. In particular, Japan pursued a plan of conquesttowards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경덕왕). Accordingly,Usanguk,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Sea, was used as a strategic, marinemilitary point.
    Concerning a diplomatic visit to Japan by Balhae, the basic sea route wasthat from Hamgyeongdo(함경도)–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동해)–Ulreungdo–Oki Island(오키섬)–Sanin(산인). This reduced the risk of sailingon the open sea while also increasing sailing efficiency owing to the existenceof clear navigational goals such as Ulreungdo and Dokdo. Since the main searoute used Ulreungdo for navigation, Silla responded actively to this. It wasable to block mutual negotiations by either by monitoring the passing of shipsor using military power.
    Simultaneously, Silla made preparations to protect Ulreungdo as its isolationmade it vulnerable to external attack. Silla initiated a new recruiting systembased on the execution of the equal-field system; therefore, it was not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ruling order of the mainland of Silla, which was based on a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ystem. Although Usanguk hadbeen isolated geographically, it existed within the criminal and administrativesystem of the middle to later period of Silla as a domain of Silla, and also in the sam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