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경(易經)의 방원도(方圓圖)와 공명(共鳴)의 예술론 (The ‘Square and Circle Patterns(方圓圖)’ of ‘The Book of Changes(易經)’ and the art Theory of Resonan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2
29P 미리보기
역경(易經)의 방원도(方圓圖)와 공명(共鳴)의 예술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횡단인문학 / 10호 / 329 ~ 357페이지
    · 저자명 : 황의필

    초록

    이 논문이 추구하려는 문제 제기의 출발은 역경 구조와 방원도가 어떻게 예술에 스며드는지 밝히려는 시도이다. 자고로 역경은 연산(連山)・귀장(歸藏)・주역의 3역(三易)을 바탕으로 삼는다. 이에 역경 원리는 변화의 장으로써 태극(太極)・양의(兩儀)・사상(四象)・팔괘(八卦)의 과정을 근거 짓는다. 역의 64괘는 건과 곤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는 이치를 품는다. 역의 천지 원리에서 천은 원형, 지는 사각형을 상징한다.
    ‘주역육십사별괘도(周易六十四別卦圖)’에서는 ‘일원일방(一圓一方)’과 ‘일동일정(一動日靜)’으로써 음양에 근거한 천지 만물의 조합을 이룬다. 더불어 하도와 낙서 구조는 ‘체용(體用)’ 원리를 따른다. 즉 하도는 원으로서 양이며, 낙서는 각으로서 음이다. 또한 하도의 선천 8괘는 체성(體性)이자 좌선(左旋)의 상생 관계이며, 낙서의 후천 8괘는 용성(用性)이자 우전(右轉)의 상생 관계이다.
    방원도의 예술성은 무위이화(無爲而化)의 개념으로 허공에 따른 감화를 품는 데 기인한다. 즉, 인위에서 떠난 상태로 비존재, 무형, 무심을 추구하는 데 따른다. 이는 우주 만물의 변화 원리인 역리 현상이 인간 사상과 미술품에 스며들면서 방원도를 표상화로 이끄는 계기를 창출한 셈이다.

    영어초록

    The ‘Square and Circle Patterns(方圓圖)’ of ‘The Book of Changes(易經)’ and the art theory of resonance.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to try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Changes(易經)’ and how ‘Square and Circle Patterns(方圓圖)’ penetrate into art.
    The Book of Changes is based on the Three Changes(三易) of ‘Lian Shan(連山)’, ‘Gui Cang(歸藏)’,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The Book of Changes principle is a place of change, the entity of the cosmos(太極), Liangyi(兩儀), Sasang(四象), eight trigrams(八卦) Process. The sixty-four hexagrams of Changes have a constant interplay between Geon and Gon. In the principle of Changes of the Heaven and Earth(天地), Heaven is a circle, and Earth is a square.
    In ‘Juyeog-yugsibsabyeolgwaedo(周易六十四別卦圖)’, ‘One Square and One Circle(一圓一方)’ and ‘one movement and one calmness(一動日靜)’, it is a combination of all things according to Yin-Yang. In addition, the Hadu-luoshu structure follows the principle of Substance-Function(體用). In other words, Hetu is a circle as a Yang, and Luoshu is a Yin as an angle. In addition, the seongcheon 8gwae of Hetu is a co-relation of cheseong(體性) and jwaseon(左旋), and the huchheon 8gwae of Luoshu is a yongseong(用性) and ujeon(右轉) It is a win-win relationship.
    The artistry of ‘Square and Circle Patterns’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empty space(虛空) as a concept of ‘non-doing, then changing(無爲而化)’. In other words, it follows the pursuit of Not-Being(非存在), Formless(無形), No-Mind(無心) in a state of departing from human activity. In the end, ‘Providence phenomenon of change’ penetrates into human thought and art, and the phenomenon of ‘the whole creation’ is transformed into Representation of ‘Square and Circle Patterns’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횡단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