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의 견해 (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8
26P 미리보기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의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0호 / 113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초록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만년 학설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 丁時翰, 1625∼1707)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퇴계 이도설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수용과 계승 및 발전의 양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퇴계 이후 이도설은 ‘물리도심(物理到心)’으로 이해되었고,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은 이를 무위의 본체인 ‘리(理)’에 ‘저기서부터 여기로 이른다’는 방향성과 운동성을 부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우담은 ‘물리도심’을 긍정하였고, 이를 ‘리’의 온전한 체(體)를 부여받아 만물의 용(用)을 아울러 갖춘 ‘심(心)’이 만물을 통섭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존에 구축한 ‘리의 용(用)’에 대한 정치한 해석에 기반하여 ‘이도(理到)’를 ‘물아위일(物我爲一)’로 확장하였다. 이때의 ‘물아위일’은 단순한 융회관통의 차원이 아닌 ‘물리’가 질서정연해져 ‘심’ 속에 누가 되지 않는 경지가 된다.
    우담의 견해는 ‘이도(理到)’의 서술어에 해당하는 ‘도(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이를 ‘진(盡)’으로 대체하여 이도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려 한 갈암과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우담은 보다 본체론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담의 견해는 퇴계가 구축한 ‘리’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이는 우담의 리체용론이 퇴계학파의 사상 형성과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ppearance of development, inheritance and acceptance of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heory after his life by examining 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 1625∼1707)’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s latter theory.
    After Toegye, Ido-seol was translated as ‘The principle of matters reaches the human mind’. Galam Yi Hyunil(葛庵 李玄逸, 1627∼1704), the contemporary scholar with Udam, criticized this translation for applying the directivity and motility to ‘Li’, the immovable principle. However, Udam agreed with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Ido-seol and understood it as the consilience of mind which got the entire principle(體) of ‘Li(理)’ and contained the application(用) of all things. He extended this concept as the level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物我爲一]’ based on his former theory, the exquisite interpretation of ‘application of Li’. The meaning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物我爲一]’ is not amalgamation but applepie order of matter`s principle in mind.
    The Udam`s viewpoint is differ from Galam who tri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 of Ido-seol by transforming ‘Do(到)’, the predicate of ‘Ido(理到)’, into ‘Jin(盡)’. It means that he tried to interpret ‘Ido(理到)’ on the more essential aspect. His view can be the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Toegye`s neo-Confucianism system with ‘Li(理)’ as central figure. It suggested that Udam`s theory of the principle and the applecation of ‘Li’ can be the important theory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oegye schools` though and its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